![](https://dimg.donga.com/wps/SPORTS/IMAGE/2016/04/11/77526110.2.jpg)
오는 30일 예정된 이동통신 주파수 경매가 이동통신 3사 간 ‘신경전’으로 최장 8일 동안 이어질 전망이다.
미래창조과학부(이하 미래부)는 11일 입찰서 작성 제출 시간 등을 담은 ‘주파수 경매 세부시행계획’ 발표하며 “입찰 참여 희망 사업자를 오는 18일까지 신청받으며, 적격 심사를 거쳐 이달 말 경매를 개시하겠다”고 밝혔다.
미래부에 따르면 경매는 동시에 가격을 적어 라운드가 진행될수록 입찰가를 높이는 ‘동시오름 입찰’과 동시에 가격을 제출하고 가장 높은 가격을 선택하는 ‘밀봉입찰’의 혼합 방식으로 진행된다.
동시오름 입찰서 제출 시간은 40분, 이를 감안하면 오름입찰은 하루 약 7라운드 내외로 진행되어 총 50라운드까지 간다면 약 8일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며, 만약 동시오름입찰로 낙찰이 안되면 작성 시간은 최대 4시간의 밀봉 입찰이 진행된다.
입찰증분(입찰액을 제시할 때 직전 라운드 입찰액 대비 올려야 하는 최소 비율)은 지난 2013년 주파수 경매 때와 같은 0.75%로 결정되어 입찰자는 직전 라운드 승자 입찰액에 입찰증분이 더해진 금액(최소입찰액) 이상으로 입찰할 수 있다.
미래부는 이통사 간 담합을 막고 보안을 철저히 하기 위해 매일 경매장에 도청장치 설치 여부를 점검하고 각 입찰실에는 녹화전용 CCTV를 설치하며 입회자 2명을 상주시킨다.
또 사업자 당 반입 기기는 휴대전화 2대, 팩스 1대, 노트북 1대로 제한한다.
주파수 경매의 입찰가는 그야말로 천문학적인 수치다. 대역별 최저경쟁가격은 700㎒ 대역이 7620억원, 1.8㎓ 대역이 4513억원, 2.1㎓ 대역이 3816억원, 2.6㎓ 대역의 40㎒이 6553억원, 20㎒가 3277억원으로 각각 확정됐다.
업계는 주파수 경매를 두고 점점 경쟁이 치열해지며 낙찰가가 3조 원을 가볍게 넘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편 이번에 경매되는 주파수는 700㎒ 대역에서 40㎒ 폭 등 5개 블록(대역)에서 140㎒ 폭이다. 사업자는 경매로 얻은 주파수를 700㎒, 1.8㎓, 2.6㎓ 대역은 할당일로부터 10년(2026년 12월 31일까지), 2.1㎓ 대역은 5년(2021년 12월 5일까지)까지 쓸 수 있다.
동아닷컴 양주연 인턴기자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사진=미래창조과학부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