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우들을 향한 믿음일까. SBS 새 월화드라마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극본 조윤영 연출 김규태)가 첫 방송을 열흘 앞두고 본편을 공개했다. 지상파 드라마로써는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지난 19일 서울 양천구 목동 SBS 사옥에서는 ‘달의 연인-보보경심 려’(이하 달의 연인) 1, 2회 기자 시사회가 진행됐다. 100% 사전 제작된 ‘달의 연인’은 모든 촬영과 편집 과정을 마친 상태. 시사회에서 진행된 분량 역시 본편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이 관계자의 설명이다.
실제로 시사회를 통해 공개된 ‘달의 연인’ 1, 2회는 자막까지 온전히 들어간 완성본이었다. 화려한 영상미와 현대적인 음향효과 등은 작품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동시에 자아내고 있다. 신선함은 강점이지만, 정통 사극과 비교하면 약점으로 작용된다. 그럼에도 제작진은 새로운 시도에 역점을 두고 시청자를 공략한다는 방침.
‘달의 연인’ 연출을 맡은 김규태 PD는 “사극을 연출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평소 여르 장르를 연출하고 싶었는데 그중 하나가 사극이다. 선배들의 작품을 보면서 내게도 기회가 오지 않을까 했었다. 그런데 이번에 기회가 오게 됐다”고 운을 뗐다.
그는 “‘달의 연인‘을 통해 나만의 색깔을 보여주고 싶었다. 미술적인 부분에서 신경을 많이 썼다. 퓨전 사극에서 또 하나의 새로운 사극이 탄생하지 않을까 싶다. 젊은 배우는 물론 중견 배우들까지 다양한 스토리를 담고 있다. 새로운 재미를 느낄 수 있을 것이다”고 이야기했다.
하지만 극 초반 다소 가벼운 분위기가 드라마의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자칫 시청자의 몰입을 방해할 수 있다는 우려에서다.
이에 대해 김 PD는 “‘달의 연인’은 해수(이지은)라는 인물의 성장드라마라고 해도 무방하다. 10년의 세월을 고려시대에서 지내게 된다. 초반에는 10대의 감성과 분위기를 담고 있다. 그러나 중반을 넘어 후반부로 갈수록 20·30대의 분위기가 녹아든다. 세월 변화에 따라 예측할 수 없는 상황들이 전개될 예정이다”라고 설명했다.
‘달의 연인’은 중국의 유명 소설인 ‘보보경심’을 원작으로 하고 있다. 국내에 앞서 대만에서도 드라마로 제작돼 큰 성공을 거둔 바 있다. 그렇다면 국내에서도 성공할 수 있을까. 김 PD는 “‘보보경심’을 드라마화 한 이유는 두 가지다. 먼저 타임슬립한 여인이 왕자들과 로맨스를 펼친다는 설정이다. 이는 대중적인 코드가 있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어 “두 번째는 살얼음판을 걷듯 한 걸음씩 조심스럽게 걸어간다는 뜻의 제목처럼, 살벌한 신분제와 피바람이 부는 역사 속 삼각 로맨스가 드라마틱했다. 미래를 알고 두려움을 가진 상태에서 왕이 될 황자, 그렇지 않은 황자와의 삼각로맨스가 끌렸다”며 “신선한 소재는 아니지만, 작품 자체가 가진 정서나 비극적인 멜로 코드, 다양한 인물들의 조합이 드라마로 만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분명 시청자를 자극한 요소와 흥행 코드가 있다고 본다”고 이야기했다.
또 김 PD는 캐스팅에 대한 만족감도 드러냈다. 그는 “젊은 캐릭터가 많아 캐스팅 작업이 쉽지 않았다. 각기 다른 개성을 지닌 캐릭터에 맞게 연기와 스타성을 두루 고려해 섭외 작업을 진행했다. 그리고 결과는 대만족이다. 정말 캐스팅 한 번 잘했다는 생각이 들 정도다. 한 작품에서 모든 캐릭터가 다 주목받기 어려운데, ‘달의 연인’은 대부분의 캐릭터가 주목받을 것 같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자신에 찬 김 PD다. 이제 판단은 시청자의 몫이다. 100% 사전 제작돼 추가 촬영도 불가능한 ‘달의 연인’이다. 과연 김 PD의 말처럼 ‘달의 연인’은 새로운 퓨전 사극의 지평을 열지 주목된다. 고려 태조 이후 황권 경쟁 한복판에 서게 되는 황자들과 개기일식날 고려 소녀 해수가 된 현대 여인 고하진이 써내려가는 사랑과 우정, 신의의 궁중 로맨스 ‘달의 연인’은 29일 첫 방송(1·2회 연속방영)된다.
동아닷컴 홍세영 기자 projecthong@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