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안군, 韓-佛 교류 상징 옹기 술병 복원·전시 추진

입력 2023-07-13 18:04: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신안군 비금도 신촌마을 최준섭 이장이 기증한 옹기 술병. 사진제공ㅣ신안군

비금도 신촌마을 최준섭 이장 옹기병 기증
전남 신안군이 지금으로부터 172년 전인 1851년(조선 철종 2)에 프랑스 영사가 나주목사에게 받았다고 전해진 옹기 술병을 복원하고 전시한다.

13일 군에 따르면 프랑스 북서부 르 아브르항에서 출항한 프랑스 고래잡이배 르 나르발(Le Narval)호는 1851년 4월 비금도 해역에서 난파됐다. 조난된 선원 29명은 나주목사 겸 남평현감인 이정현 등을 만났으나 의사소통이 되지 않았다.

그 중 9명이 작은 배로 중국 상하이에 도착해 프랑스 영사에 구조를 요청했고 당시 프랑스 영사 몽티니가 구조 원정대를 이끌고 조선으로 출항했다.

제주도를 거쳐 비금도에 도착한 몽티니 영사는 걱정과 달리 선원들이 섬 주민들의 보호 아래 잘 지내고 있는 모습을 보고 안심했다. 그는 조선 정부에 고마움을 표시하고 선원들의 송환을 요청했으며 떠나기 하루 전인 5월 2일 나주목사 이정현과 만나 막걸리로 추정되는 한국 술과 샴페인으로 만찬을 했다.

이때 몽티니는 술이 담긴 옹기 술병을 받았다. 이는 한국과 프랑스 첫 교류의 산물로 이 술병은 현재 프랑스 파리 세브르 국립도자기박물관에 전시돼 있다.

이와 관련된 기사를 본 비금도 신촌마을 최준섭 이장은 집집마다 술을 보관했던 옹기병이 있었다며 마을에서 사용해 왔던 생활물품인 옹기병을 군에 기증하겠다는 의사를 밝혔다. 비금도에는 몽티니 영사가 받은 것과 비슷한 옹기병이 집집마다 보관돼 있는데 술을 담아두었다가 주둥이가 깨지면 깨진 주둥이를 솔잎으로 막아 식초를 만드는 데 사용했다고 한다.

박우량 신안군수는 “몽티니 영사가 받은 술병은 오래전부터 비금 주민들이 사용해왔던 술병”이라며 “프랑스와의 교류에서 우리 전통 섬 문화가 사용된 점에 의의를 가지고 몽티니 영사의 옹기 술병을 복원해 군청과 비금면사무소에 각각 전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신안군은 한국과 프랑스가 막걸리와 샴페인을 교환하면서 교류가 시작되었음에 의미를 두고 비금도에 기념공원을 조성하고 폐교 등 유휴시설을 단장해 샴페인박물관을 만들 계획이다.

스포츠동아(신안)|양은주 기자 localh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