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희 회장 신경영 30주년 국제학술대회’ 개최…“삼성의 미래와 도전 논의”

입력 2023-10-19 10: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18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전경.   사진제공|삼성전자

18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열린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 전경. 사진제공|삼성전자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 겸 대회 개최
“이건희 미래지향 경영으로 삼성 성장”
경영·경제 등 세계 석학들 연사 초청
한국경영학회는 18일 삼성전자 서초사옥에서 ‘이건희 회장 3주기 추모·삼성 신경영 30주년 기념 국제학술대회’를 개최했다. 올해는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이 1993년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신경영을 선언하고 본격적인 경영 혁신에 나선 지 30주년이 되는 해다. 행사엔 김재구 한국경영학회장, 김황식 호암재단 이사장을 비롯해 국내외 석학들과 삼성 관계사 임직원 등 총 300여 명이 참석했다.

김재구 학회장은 개회사에서 “이건희 선대회장은 미래 지향적이고 도전적인 경영으로 삼성을 세계적인 초일류기업으로 성장시켰다”고 말했다. 김황식 이사장은 기념사에서 “이건희 선대회장은 기업이 가진 인재와 기술을 중심으로 국가 사회가 처한 문제들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했다”고 말했다.

한국경영학회가 주최하고 삼성글로벌리서치가 후원한 이번 학술대회에는 경영·경제·인문·인권 분야 세계 최고 석학들이 연사로 초청됐다. 연사들은 삼성 신경영을 ▲기술 ▲전략 ▲인재 ▲상생 ▲미래세대 ▲신흥국에 주는 함의 등 6가지 관점에서 분석하고, 신경영이 갖고 있는 현재적 의미에 대해 의견을 나눴다.

기조연설은 2017년 세계 1위 ‘경영 사상가’로 선정된 로저 마틴 토론토대 경영대학원 명예교수와 신학·인문학 분야 권위자인 김상근 연세대 신학대 교수가 맡았다.

‘이건희 경영학의 본질은 무엇인가’를 주제로 연단에 선 마틴 교수는 “이건희 선대회장은 미래에 대한 상상력과 통찰력을 보유한 전략 이론가였으며, 통합적 사고에 기반해 창의적 해결책을 만들어내는 능력을 갖춘 통합적 사상가였다”고 평가했다.

김상근 교수는 ‘르네상스人 이건희와 KH 유산의 의의’를 주제로 이건희 선대회장의 ‘KH 유산’으로 이뤄진 대규모 사회환원의 의미를 되새기며, 고인이 경영 외적인 분야에서도 큰 유산을 국가에 남겼다고 소개했다. 김 교수는 “이건희 선대회장은 이탈리아 피렌체의 르네상스를 이끈 메디치 가문에 필적할 만한 업적을 남긴 한국의 시대 정신이다”고 평가했다.

이어진 세션에선 ‘삼성의 미래와 도전’을 주제로 국내외 석학들의 심도있는 논의와 토론이 이어졌다. 한편, 이날 행사에선 한국을 대표하는 백건우 피아니스트가 이건희 선대회장 3주기를 추모하는 공연을 했다.

김명근 기자 dionys@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