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 모티브’ 전두광 연기한 황정민 “시나리오 입각해 연기” (서울의 봄)

입력 2023-11-09 17:02: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전두환 모티브’ 전두광 연기한 황정민 “시나리오 입각해 연기” (서울의 봄)

영화 ‘서울의 봄’ 배우들이 역사적 사실 속 인물들을 연기한 소감을 밝혔다.

황정민은 9일 오후 서울 강남구 메가박스 코엑스에서 진행된 영화 ‘서울의 봄’ 언론시사회에서 “시나리오 안에 모든 정답이 나와 있으니까 그 안에서 철저하게 입각해서 전두광이라는 인물을 만들었다. 그게 지금 보신 결과물인 것 같다”고 말했다.

먼저 황정민이 아군과 국민을 향해 전선을 구축한 보안사령관 전두광(황정민)을 연기했다. 전두광은 실존인물 전두환을 모티브로 한 인물이다. 정우성은 홀로 반란군에 맞선 진압군 측 수도경비사령관으로 장태완 소장을 모티브로 한 이태신(정우성)을 열연했다. 더불어 이성민은 정승화 대장을 모티브로 한 육군참모총장 계엄사령관 정상호를, 김성균은 김진기 준장을 모티브로 한 육군본부 헌병감 김준엽을 맡았다.

정우성은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는 것을 부정할 수는 없지만 영화 나름대로의 재해석이 있는 거니까 실제 사건의 부담감을 털어냈다”면서 “모티브가 되는 인물들이 배치돼 있지만 나는 이태신이라는 인물을 만들 때 그 당시의 수도경비사령관의 임무를 맡고 계셨던 분의 이야기를 더 배척하려고 노력했다”고 털어놨다. 그는 “감독님도 ‘서울의 봄’에서는 이태신이라는 인물이 실제 사건에서 멀게 가공된 인물이 아닐까 생각한다고 말씀해주셨다. 이태신을 찾아가는 과정이 있었고 감독님에게 많이 기대면서 만들어나갔다”고 설명했다.

이성민은 “김성수 감독과 처음 작업했다. 나를 선택해주셨고 감독님을 실망시키지 않기 위해 긴장하면서 촬영했다. 역사적으로 다 알고 있는 사실을 연기한다는 게 관객들에게 어떤 긴장감을 줄지 생각하면서 초반부 황정민이 맡은 역할과 함께 긴장감을 유지하려고 애 썼다”고 밝혔다.

김성균은 “실제 군사반란을 소재로 한 영화인데 결과를 알고 봤지만 손에 땀을 쥐면서 봤다. 시나리오와 감독님을 믿고 하면 되겠다는 생각으로 임했고 현장에서도 너무나 좋았다”고 말했다.

한국 영화 사상 처음으로 12.12 군사반란을 모티브로 한 영화 ‘서울의 봄’은 1979년 12월 12일 수도 서울에서 일어난 신군부 세력의 반란을 막기 위한 일촉즉발의 9시간을 그린 작품. ‘아수라’ 김성수 감독이 연출하고 황정민을 비롯해 정우성, 이성민, 김성균 등이 출연했다. 22일 극장 개봉.

동아닷컴 정희연 기자 shine256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