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우 오정세가 드라마 ‘악귀’를 통해 그동안 대중들에게 비춰진 이미지와는 180도 다른 모습을 선보였다. 이미 연기로는 인정받은 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도전한 새로운 모습이 앞으로 오정세가 펼칠 다양한 연기에 대한 기대감과 궁금증을 높였다.
오정세는 4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SBS 드라마 ‘악귀’ 종영인터뷰를 진행해 기자들과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날 오정세는 종영소감을 묻자 “저한테 ‘악귀’라는 작품이 쉽지 않은 작품이고, 생각이 많았는데 주변 분들의 도움으로 저에게는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작품으로 남게 돼 감사하게 생각한다”라고 운을 뗐다.
또 김은희 작가와 두 번째로 작업을 한 소감을 묻자 “세 번째는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작가님이 믿어 주셨고, 하고 싶은 대로 하라는 기본 베이스가 있었다. 큰 서사를 넘지 않은 선에서는 하고 싶은 정서를 할 수 있게 날개를 달아주셨다. 이런저런 상황을 이야기하면 반영을 해주셔서 잘 만들어주신 것 같다”라고 고마움을 표현했다.
처음 ‘악귀’의 시나리오를 만났을 땐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오정세는 “해상이랑 비슷한 느낌이었다. 해상도 분명 악귀를 없애야하는 목표는 있었지만 어떻게 가야 하는지 방법은 모르고 안개 속에 있는 생각이 있었다. 나또한 해상을 만나기까지 악귀를 잘 없애야겠다는 목표는 있지만 어디서부터 만나야할지 불안감이 안개 속에 있었던 것 같다. 주변의 도움으로 조금씩 해상을 만날 수 있었다”라고 답했다.
또 극중 캐릭터를 구상하는 과정에 대해 오정세는 “자기 목숨이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자기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가는 발걸음들이 있다. 그런 선한 행동들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그 안에 해상이가 있었으면 생각했다. 기본적으로 악귀를 잡으러 가지만, 주변의 어려움은 도와주고 간다. 그렇게 중심을 잡았다. 더 나아가서, 누군가가 억울하게 죽었을 때 기리고 추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참 중요한 일이라는 걸 해상을 통해 공감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오정세는 작품 이후 달라진 마음가짐에 대해 설명하며 “누군가를 위한 발걸음, 또 사건사고가 터졌을 때 멀리서나마 같이 아파하고 기억해줄 수 있는 마음도 혹은 골목길에 누군가 눈을 치워놓은 것 등 작은 선한 행동과 사람이 모여서 세상이 아름다워진다고 생각하는데 그 안에 해상이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작품 이전에는) 멀리서 아파하고 그런 마음이 들었다면, 이 작품을 만나면서는 조금 더 가깝게 마음을 두고 오기도 한다. 억울한 영혼이 있고, 귀신이 있고 위로를 받는지는 모르겠다. 거기까지 가는 마음가짐은 중요한 일이지 않나 생각이 든다”라고 말했다.
또 그동안 오정세가 보여준 모습과는 다르지 않았는지 묻자 오정세는 “해상이라는 친구가, 내가 대중들에게 비춰지는 희극적인 이미지보단 다른 정서적 느낌이 있다. 조용한 친구이기 때문에 힘든 점은 없었다. 대중들에게 그렇게 비춰진 것뿐이지, 20년 전에도 정서적으로 무미건조하고 차분한 역할도 해왔다. 인물 자체는 부대끼지 않았는데, 이 인물을 어떻게 표현할까라는 고민들이나 숙제를 푸는 건 오래 걸렸다”라고 답했다.
‘악귀’의 염해상 캐릭터를 어떻게 만들어갔을까. 오정세는 “텍스트만 보면 귀신을 보는 민속학자 교수이고, 외로움을 느끼고 자신의 세상에 갇힌 사람이라 볼 수 있지만 김은희 작가님 작품 안에서 해상이를 쫓아가다 보면 해상만의 매력이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라며 “해상의 키워드 중 하나가, 다른 작품에서는 주인공을 구하는데 이번에는 구하지 못하는 인물로 시작을 한다.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이라고 표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멋있는 느낌이 아니라 사람 같은 느낌이 묻어났으면 했다. 그런 것들을 쌓아가면서 해상을 만들어갔다”라고 설명했다.
오정세는 ‘귀신’을 믿을까. 이런 질문에 “귀신은 잘 모르겠고, 영혼이 있는 느낌이 든다. 무속인을 만났는데, 보고 이야기를 하시는 것 같았다. 시선이나 호흡들도 해상의 정서로 가지고 오려고 노력했다. 그 분들도 초자연적인 걸 본다고 해도, 사람 같은 느낌이 든다. 해상도 그렇게 보이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극중 할머니로 등장한 김해숙과의 연기 호흡에 대해 “작품에 대해 깊은 이야기는 안 했다. 기본적으로 만나보고 싶던 배우였다.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액션에 들어갔을 때의 텐션이 모든 걸 말해주고 느끼게 해줬던 분이다. 대화 사이에 틈이 있는데, 그 틈이 비게 느껴질 때가 있다. 선배님은 그 안을 채우는 아우라가 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귀여우신 면도 있다. 촬영 들어가기 전까지 귀여운 면이 있으셨다”라고 말했다.
열심히 작품을 이어가고 있는 오정세의 원동력은 무엇일까. 오정세는 “이런 작품을 만들어가면서 스스로도 조금이나마 성장을 같이 해나가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어떤 작품은 작품이 너무 재밌어서 선택하기도, 어떤 작품은 그 안의 인물 때문에 선택하기도 한다. 또 동료 배우들 때문에 선택하기도 한다. 매 작품마다 당기는 에너지는 다르다. 그래서 작품들을 계속 만나는 원동력이기도 하고, 그러면서 하다 보니 지금까지 작업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악귀’를 통해 함께 호흡했던 김태리, 홍경과의 호흡은 어땠을까. 오정세는 “태리는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알던 친구다. 그때나 지금이나 나에게 건강함을 느끼게 한다. 작품을 대하고 인물을 대할 때, 치열하게 스스로 힘들 것 같은데 걱정을 할 정도로 깊게 파고든다. 그런 모습이 보기 좋았다. 본인 것을 치열하게 고민하지만 해상 그리고 우리 것을 고민하는 것 같다. 작품을 여러 각도로 고민하고 애정을 쏟고, 그런 연구들을 하는 것 같았다. 그런 과정들 중에서도 도움을 많이 받았고, 연기 하면서도 받고 해석함에 있어서도 도움을 받았다”라고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악귀’ 촬영장에서 겪은 무서웠던 경험에 대한 질문에 오정세는 “악귀보다는 벌레에 놀랐다. 숲속에서 끌려 다닐 때도 지네가 지나다녔다. 벌레를 무서워해서 쉽지 않았다. 폐가가 더 무서웠다. 내 눈에 벌레가 보여서 힘들었다. 조명이 있을 때는 벌레가 안 보여서 덜 무서웠다”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김은희 작가가 인터뷰를 통해 오정세 배우의 섬세한 애드리브를 칭찬하기도 했다. 이에 오정세는 “엘리베이터는 작가님이 써주신 게 해상의 유머일 수 있을 것 같고, 뒤에도 그런 장면을 넣었다. 마지막에는 시청자가 미친 사람이 아니라고 봤으면 했다. 해상의 유머를 가지고 오려고 상대배우에게 대사를 부탁했다. 라임이 있었으면 해서 그 친구의 대사에 추가를 부탁했다. 거기서 유쾌함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았다. 작은 노력들이 독이 될까봐 안 쓴 것도 있었다”라고 비하인드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오정세의 필모그래피에서 ‘악귀’는 어떤 작품으로 남을 지에 대한 질문에 “개인적으로는 해상을 만나면서 나도 한층 성장한 느낌이 있어서 해상에게 감사하다. 작품마다 그 작품을 만나면서 듣는 노래들이 있는데, ‘악귀’는 위로라는 지점에 있어서 서혜경의 ‘그렇게 살아가는 것’ 노래를 들었었다. ‘나는 나를’이라는 노래가 있는데, 끝나면서 해상에게 해주고 싶은 노래이기도 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악귀’는 악귀에 씐 여자와 그 악귀를 볼 수 있는 남자가 의문의 죽음을 파헤치는 한국형 오컬트 미스터리 드라마다.
동아닷컴 최윤나 기자 yyynn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정세는 4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카페에서 SBS 드라마 ‘악귀’ 종영인터뷰를 진행해 기자들과 만나 작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었다.
이날 오정세는 종영소감을 묻자 “저한테 ‘악귀’라는 작품이 쉽지 않은 작품이고, 생각이 많았는데 주변 분들의 도움으로 저에게는 가치 있고 의미 있는 작품으로 남게 돼 감사하게 생각한다”라고 운을 뗐다.
또 김은희 작가와 두 번째로 작업을 한 소감을 묻자 “세 번째는 더 잘 할 수 있을 것 같다. 작가님이 믿어 주셨고, 하고 싶은 대로 하라는 기본 베이스가 있었다. 큰 서사를 넘지 않은 선에서는 하고 싶은 정서를 할 수 있게 날개를 달아주셨다. 이런저런 상황을 이야기하면 반영을 해주셔서 잘 만들어주신 것 같다”라고 고마움을 표현했다.
처음 ‘악귀’의 시나리오를 만났을 땐 어떤 느낌을 받았을까. 오정세는 “해상이랑 비슷한 느낌이었다. 해상도 분명 악귀를 없애야하는 목표는 있었지만 어떻게 가야 하는지 방법은 모르고 안개 속에 있는 생각이 있었다. 나또한 해상을 만나기까지 악귀를 잘 없애야겠다는 목표는 있지만 어디서부터 만나야할지 불안감이 안개 속에 있었던 것 같다. 주변의 도움으로 조금씩 해상을 만날 수 있었다”라고 답했다.
또 극중 캐릭터를 구상하는 과정에 대해 오정세는 “자기 목숨이 위험함에도 불구하고 자기도 모르게 본능적으로 가는 발걸음들이 있다. 그런 선한 행동들이 아름다운 세상을 만든다고 생각한다. 그 안에 해상이가 있었으면 생각했다. 기본적으로 악귀를 잡으러 가지만, 주변의 어려움은 도와주고 간다. 그렇게 중심을 잡았다. 더 나아가서, 누군가가 억울하게 죽었을 때 기리고 추억하고 추모하는 것은 참 중요한 일이라는 걸 해상을 통해 공감할 수 있었다”라고 설명했다.
오정세는 작품 이후 달라진 마음가짐에 대해 설명하며 “누군가를 위한 발걸음, 또 사건사고가 터졌을 때 멀리서나마 같이 아파하고 기억해줄 수 있는 마음도 혹은 골목길에 누군가 눈을 치워놓은 것 등 작은 선한 행동과 사람이 모여서 세상이 아름다워진다고 생각하는데 그 안에 해상이가 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작품 이전에는) 멀리서 아파하고 그런 마음이 들었다면, 이 작품을 만나면서는 조금 더 가깝게 마음을 두고 오기도 한다. 억울한 영혼이 있고, 귀신이 있고 위로를 받는지는 모르겠다. 거기까지 가는 마음가짐은 중요한 일이지 않나 생각이 든다”라고 말했다.
또 그동안 오정세가 보여준 모습과는 다르지 않았는지 묻자 오정세는 “해상이라는 친구가, 내가 대중들에게 비춰지는 희극적인 이미지보단 다른 정서적 느낌이 있다. 조용한 친구이기 때문에 힘든 점은 없었다. 대중들에게 그렇게 비춰진 것뿐이지, 20년 전에도 정서적으로 무미건조하고 차분한 역할도 해왔다. 인물 자체는 부대끼지 않았는데, 이 인물을 어떻게 표현할까라는 고민들이나 숙제를 푸는 건 오래 걸렸다”라고 답했다.
‘악귀’의 염해상 캐릭터를 어떻게 만들어갔을까. 오정세는 “텍스트만 보면 귀신을 보는 민속학자 교수이고, 외로움을 느끼고 자신의 세상에 갇힌 사람이라 볼 수 있지만 김은희 작가님 작품 안에서 해상이를 쫓아가다 보면 해상만의 매력이 있을 거라는 믿음이 있었다”라며 “해상의 키워드 중 하나가, 다른 작품에서는 주인공을 구하는데 이번에는 구하지 못하는 인물로 시작을 한다.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사람이라고 표현했으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멋있는 느낌이 아니라 사람 같은 느낌이 묻어났으면 했다. 그런 것들을 쌓아가면서 해상을 만들어갔다”라고 설명했다.
오정세는 ‘귀신’을 믿을까. 이런 질문에 “귀신은 잘 모르겠고, 영혼이 있는 느낌이 든다. 무속인을 만났는데, 보고 이야기를 하시는 것 같았다. 시선이나 호흡들도 해상의 정서로 가지고 오려고 노력했다. 그 분들도 초자연적인 걸 본다고 해도, 사람 같은 느낌이 든다. 해상도 그렇게 보이려고 했다”라고 설명했다.
또 극중 할머니로 등장한 김해숙과의 연기 호흡에 대해 “작품에 대해 깊은 이야기는 안 했다. 기본적으로 만나보고 싶던 배우였다.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아도 액션에 들어갔을 때의 텐션이 모든 걸 말해주고 느끼게 해줬던 분이다. 대화 사이에 틈이 있는데, 그 틈이 비게 느껴질 때가 있다. 선배님은 그 안을 채우는 아우라가 있다. 그리고 기본적으로 귀여우신 면도 있다. 촬영 들어가기 전까지 귀여운 면이 있으셨다”라고 말했다.
열심히 작품을 이어가고 있는 오정세의 원동력은 무엇일까. 오정세는 “이런 작품을 만들어가면서 스스로도 조금이나마 성장을 같이 해나가고 있다고 생각이 들었다. 어떤 작품은 작품이 너무 재밌어서 선택하기도, 어떤 작품은 그 안의 인물 때문에 선택하기도 한다. 또 동료 배우들 때문에 선택하기도 한다. 매 작품마다 당기는 에너지는 다르다. 그래서 작품들을 계속 만나는 원동력이기도 하고, 그러면서 하다 보니 지금까지 작업을 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악귀’를 통해 함께 호흡했던 김태리, 홍경과의 호흡은 어땠을까. 오정세는 “태리는 개인적으로 예전부터 알던 친구다. 그때나 지금이나 나에게 건강함을 느끼게 한다. 작품을 대하고 인물을 대할 때, 치열하게 스스로 힘들 것 같은데 걱정을 할 정도로 깊게 파고든다. 그런 모습이 보기 좋았다. 본인 것을 치열하게 고민하지만 해상 그리고 우리 것을 고민하는 것 같다. 작품을 여러 각도로 고민하고 애정을 쏟고, 그런 연구들을 하는 것 같았다. 그런 과정들 중에서도 도움을 많이 받았고, 연기 하면서도 받고 해석함에 있어서도 도움을 받았다”라고 설명해 눈길을 끌었다.
‘악귀’ 촬영장에서 겪은 무서웠던 경험에 대한 질문에 오정세는 “악귀보다는 벌레에 놀랐다. 숲속에서 끌려 다닐 때도 지네가 지나다녔다. 벌레를 무서워해서 쉽지 않았다. 폐가가 더 무서웠다. 내 눈에 벌레가 보여서 힘들었다. 조명이 있을 때는 벌레가 안 보여서 덜 무서웠다”라고 말해 웃음을 자아냈다.
김은희 작가가 인터뷰를 통해 오정세 배우의 섬세한 애드리브를 칭찬하기도 했다. 이에 오정세는 “엘리베이터는 작가님이 써주신 게 해상의 유머일 수 있을 것 같고, 뒤에도 그런 장면을 넣었다. 마지막에는 시청자가 미친 사람이 아니라고 봤으면 했다. 해상의 유머를 가지고 오려고 상대배우에게 대사를 부탁했다. 라임이 있었으면 해서 그 친구의 대사에 추가를 부탁했다. 거기서 유쾌함이 나올 수 있을 것 같았다. 작은 노력들이 독이 될까봐 안 쓴 것도 있었다”라고 비하인드를 밝혔다.
마지막으로 오정세의 필모그래피에서 ‘악귀’는 어떤 작품으로 남을 지에 대한 질문에 “개인적으로는 해상을 만나면서 나도 한층 성장한 느낌이 있어서 해상에게 감사하다. 작품마다 그 작품을 만나면서 듣는 노래들이 있는데, ‘악귀’는 위로라는 지점에 있어서 서혜경의 ‘그렇게 살아가는 것’ 노래를 들었었다. ‘나는 나를’이라는 노래가 있는데, 끝나면서 해상에게 해주고 싶은 노래이기도 했다”라고 말했다.
한편 ‘악귀’는 악귀에 씐 여자와 그 악귀를 볼 수 있는 남자가 의문의 죽음을 파헤치는 한국형 오컬트 미스터리 드라마다.
동아닷컴 최윤나 기자 yyynn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