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림픽캐스터24시①]“아침10부터밤11시까지스탠바이죠”

입력 2008-08-21 06:40:27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KBS-MBC

《8일 성화가 타오르며 시작한 베이징 올림픽이 피날레를 향해 달리고 있다. 지난 2주 동안 우리는 최민호의 짜릿한 한판승에 웃고, 이배영의 투혼에 눈물짓고, 홈 텃세에 시달린 양궁팀에 가슴 아파하며 하나가 되었습다. 그 속에 우리 선수의 승리에 함께 환호하고 패자의 눈물을 격려하며 선수들과 TV 앞에서 가슴 졸이던 대한민국 국민들을 연결해준 징검다리, 올림픽 캐스터들이 있었습니다. 선수들과 한 마음으로 24시간을 뛴 그들의 땀과 노력을 들여다보았습니다.》 “아침 10시부터 밤 11시까지 스탠바이죠.” 2008 베이징 올림픽이 종반으로 치달은 요즘, KBS 이정민(28) 아나운서는 베이징 국제방송센터(IBC)의 방송 부스를 하루 12시간 넘게 지키고 있다. 언제 카메라가 경기 중계 화면에서 스튜디오로 넘어올지 모르기 때문이다. 그녀는 밥을 먹을 때도 화장실을 갈 때도 늘 불안하다. 경기와 경기 사이의 중간 멘트 몇 마디를 위해 몇 시간을 기다리는 경우는 부지기수. 하지만 방송 사정에 따라 그런 기다림이 헛일이 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녀는 “내 멘트 시간이 없어지는 것은 얼마든지 괜찮다”며 “오히려 우리나라 선수가 경기에 졌다는 소식을 전해야 할 때 마음이 안 좋다”고 웃었다. ● 올림픽 중계 캐스터, 아침 9시 출근 새벽까지 근무 이번 올림픽에 스튜디오 인력을 포함, 총 13명이 파견된 MBC 중계팀의 일정을 조율하는 강재형 아나운서는 “경기 상황이 매일 달라져 다음 날 오전 큐시트가 저녁에 나오는 게 보통”이라며 “현지시간으로 아침 6시~7시에 일어나 9시 출근하면 별일 없어도 밤 10시 반까지 근무한다”고 하루 일과를 소개했다. 더구나 저녁에 벌어지는 육상 축구 등의 중계를 맡는다면 새벽 퇴근은 당연히 감수해야 한다는 것. 방송사마다 보통 7~8명으로 꾸려진 경기 중계 캐스터들은 한 사람당 5개 안팎의 종목을 나눠 맡는다. 만점 중계를 위해서는 철저한 사전 예습은 필수. 중계 캐스터들은 올림픽 개막 3개월~8개월 전부터 메인과 서브로 종목을 맡았다. 종목에 맞춰 ‘베이징올림픽 길라잡이’(SBS) ‘올림픽 총서’(MBC) 등의 책자를 직접 만들고 취합 정리하면서 자연스럽게 공부하고 내정된 해설자들과 교감을 나눠왔다. MBC 아나운서팀을 이끄는 김창옥 국장은 “올림픽 경험이 없는 아나운서일수록 준비 시간이 길다. 아테네 올림픽 등의 테이프 자료를 보면서 과거 중계를 모니터하고 그것에 맞춰 연습을 했다”고 소개했다. 중계에 함께 해설자들과는 두 번의 워크샵을 통해 인간적인 교감을 갖기도 했다. 김창옥 국장 표현을 빌리면 “중계는 호흡”이기 때문이다. ● 올림픽 후반부로 갈수록 더 힘들어 2~3종목 연속 중계 부담 올림픽 폐막이 다가가는 요즘, 중계 캐스터나 아나운서들도 이젠 긴장을 살짝 풀고 여유를 갖지 않을까. 베이징 현지에서 중계를 맡고 있는 SBS 박영만 아나운서 팀장은 “오히려 후반부로 갈수록 아나운서들의 공부량이 더 많아진다”고 말했다. 한국에서 관심 갖는 주요 종목 경기가 초중반에 마무리 되면서 뒤로 갈수록 남은 생소한 종목들의 짧은 중계가 이어지고 있다는 것. 박 팀장은 “핸드볼, 야구, 축구 등의 종목은 한번 시작하면 2~3시간 정도 긴 중계를 하지만 뒤에 남은 종목들은 짧게는 15분, 길게는 30~40분 분량의 중계가 연속적으로 방송되기 때문에 아나운서들의 부담이 더 커진다”고 밝혔다. 더구나 한국 선수의 출전이 적은 육상 등은 아시안 게임이나 올림픽에서 2년 혹은 4년 만에 한번 정도 중계하기 때문에 전에 공부했어도 전날 밤샘 공부가 필수라는 것. 그는 “장대 높이 뛰기의 장대 길이는 얼마인지, 바 높이는 몇 번을 높일 수 있는지, 몇 차 시기를 뛸 수 있는지 전날 밤에 철저히 공부해야 중계에 실수가 없다”고 소개했다. 이유나 기자 lyn@donga.com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