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팀 감독들의 빠른 투수교체 타이밍은 3차전에서도 계속됐다. 이혜천을 퀄리티 스타트의 목전에서 내린 김경문 감독을 포함해 SK 김성근 감독도 5회말 레이번의 공이 높게 제구되기 시작하자 곧바로 정우람으로 교체해 불을 껐다, 김성근 감독은 윤길현-조웅천-이승호에 이어 정대현을 8회 시작부터 기용하는 초강수로 승리에 대한 강한 집념을 드러냈다.
하지만 선발 라인업에서는 양팀 덕아웃의 희비가 엇갈렸다. 2차전까지 한국시리즈 3경기 연속 홈런을 때려내며 가을 사나이로 떠오른 김재현을 출전 명단에서 빼내고 좌투수를 감안해 이재원을 지명타자 겸 3번으로 선택한 김성근 감독은 이재원이 4회 적시타로 선취점을 안겨주는 등 대주자로 교체되기 전까지 3타석에서 2개의 안타를 때려내 성공을 거둔 반면, 전상열-이종욱-오재원-김현수로 이어지는 4연속 좌타 라인업으로 인해 SK의 좌투수 맞춤 기용에 고전했던 김경문 감독은 웬만하면 타선을 바꾸지 않던 성향에서 벗어나 6번 고영민과 2번 오재원을 맞바꾸는 승부수를 던졌지만, 고영민이 5회말 2사 1,2루의 찬스에서 삼진으로 힘없이 물러나는 등 5타수 1안타 2삼진으로 부진해 아쉬움을 샀다.
두산은 6회말 2사 만루에서 SK가 조웅천을 마운드에 올리자 좌타자 유재웅을 대타로 내세웠으나 삼진을 당해 득점과 연결시키지 못했고, 7회 프로 경력 9년간 통산 3홈런에 그쳤던 최승환이 한국시리즈 첫 타석에서 홈런을 날려 1점 차까지 쫓아갔으나 결국 9회 1사 만루의 결정적인 찬스를 무산시켜 홈 첫 경기를 내주고 말았다.
SK는 이날까지 3번의 경기를 통해 투, 타는 물론 수비까지 쾌조의 컨디션으로 끌어올린 데다 시리즈 전적까지 역전시켜 V2로 가는 길을 한 층 밝혀 놓았다. 두산은 비록 패하긴 했지만 이혜천이 플레이오프 6차전부터 선보였던 직구 위주의 공격적인 승부가 통하며 5.2이닝을 2실점으로 막아 다음 등판에서의 기대를 갖게 한 것은 분명 큰 수확이었다.
2승 1패로 한결 여유를 가진 SK는 4차전 선발로 올 시즌 8승 6패를 거두었던 4선발 송은범을, 반면 두산은 1차전 승리투수 랜들을 다시 내세워 배수의 진을 쳤다.
엠엘비파크 유재근 기자
▼동아일보 스포츠레저부 황태훈 기자
▼동아일보 스포츠레저부 황태훈 기자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