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료 오르면 입장료도 상승…팬 위해 임대료 내려야

입력 2012-05-11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 전용배 교수 특별기고

한국프로야구에서 경기장 임대료는 지난 몇 년 간 중요한 화두였다. 이 문제는 향후에도 프로야구 미래 비즈니스에 결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안이다.

1980∼1990년대까지만 하더라도 구단들이 비즈니스 마인드가 부족했고, 경기장을 통한 수입구조 다변화에 대한 관심이 없었기 때문에 ‘일일대관’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었다. 특히 광주, 대전, 대구와 같은 소규모 구장은 지금도 별반차이가 없다. 단지 잠실, 사직, 문학과 같은 대형 경기장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는 구단들은 수익구조 개선에 중요한 변수가 되고 있다.

2001년 두산과 LG가 처음으로 잠실야구장을 위탁운영하면서 구장 마케팅에 눈을 떴다. 3년 위탁운영은 구단으로 하여금 장기적인 플랜을 갖게 만들었기 때문이다. 게다가 2010년 2월 4일 개정된 스포츠산업 진흥법에서 ‘지방자치단체는 공공체육시설의 효율적 활용과 프로 스포츠 활성화를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공유재산 및 물품 관리법 제21조 제1항에도 공유재산을 25년 이내의 기간을 정해 그 목적 또는 용도에 장애가 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사용 및 수익하게 할 수 있다’고 규정함으로써 3년 위탁운영이 아니라 장기임대를 할 수 있는 법적 토대를 만들었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잠실과 사직의 경우 3년 단위의 계약갱신 때마다 천정부지로 경기장 임대료가 치솟고 있다. 사직구장은 2011년 초 재계약 때 기존의 4억4000만 원에서 10억500만 원으로 올랐고, 잠실구장은 연간 약 38억 원에서 올 시즌에는 25억5800만원으로 계약했지만 수십억 원의 경기장광고권, 매점계약권의 권리를 빼앗기며 사용료만으로 계약을 했다.

그 피해는 당장 구단과 팬들에게 돌아오고 있다. 최근 몇 년간 경기장 입장료가 왜 급격히 상승했는지에 대한 답이 여기에 숨어있다. 프로구단이 생존하기 위해서는 입장료, 중계권료, 식음료사업, 머천다이징 수입이 균형을 이루어야 하는데 구장을 통한 수입이 원천적으로 막혀있는데 어떻게 수입구조가 개선될 수 있겠는가. 굳이 여기에서 ‘야구장은 공공재다’느니, 시민 복지차원에서도 미국이나 일본처럼 20년 임대에 1달러 사용료라는 파격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느니 해봐야 국내에서는 전혀 통하지 않는다. 자치단체 입장에서는 ‘사용하기 싫으면 관두라’로 요약된다.

그렇다고 구장사용료가 야구장시설보수나 야구발전에 전액 재투자되는 것도 아니다. ‘88 서울올림픽 때문에 건설한 잠실올림픽주경기장 같은 경우 2011년 벌어들인 수입은 대관 20억 원, 시설사용 13억 원 등 총 33억 원으로 유지보수비로 투입된 150억 원을 감안하면 매년 약 120억 원씩 적자를 보고 있는데 야구장 사용료는 주로 이런 곳의 적자보전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야구장 사용료는 현재보다 미래에 더 중요한 이슈가 될 수밖에 없다. 특히 신축예정인 광주, 창원, 대구의 경우 구장명칭 사용권, 경기장 광고권, 매점임대 사업권 등을 구단에게 저렴하게 장기임대해 주지 않는다면 구단의 독자생존은 요원하며 대기업 구단이 아니면 야구 비즈니스에 뛰어들 수 없는 구조가 고착될 수도 있다.

대한민국에는 수많은 공공장소가 있다. 그중에서 매일매일 수만 명이 모이는 곳이 야구장외에 어디 있는지 필자는 알지 못한다. 인지도 없는 국제스포츠 이벤트에는 수백억 원을 거리낌 없이 지출하면서 연간 600만 명이 넘는 관객이 찾아와 즐기는 야구장에 대해서는 왜 이리 고압적이고 무관심한지 안타깝다. 대한민국 야구팬들은 야구를 보다 쾌적한 환경에서 저렴하게 즐길 권리가 있다!

동명대학교 체육학과 교수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