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식 노리는 중국
중국은 배드민턴에 걸린 5개의 골드를 모두 노린다. 야욕은 곳곳에서 발견되고 있다. 선심 배정이 중국에 절대 유리하도록 짜여져있다. 배드민턴에서 심판 판정에 따라 승부가 갈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걱정이 아닐 수 없다. 심판판정은 지난해 중국오픈에서 드러났다.
8강전 부터는 유니폼 색깔이 같으면 안되는데, 한국은 아무런 연락을 받지 못한 채 경기장에 갔다. 그런데 5세트 때 심판 판정이 이상했고, 중국인 부심이 “5분 안에 다른 색깔의 유니폼을 가지 오지 않으면 기권 처리하겠다”고 윽박질렀다. 어처구니 없었다. 그래서 주심에게 따졌다. 규정에도 없는 기권처리는 말이 안된다고 했다.
주심은 부심이 기권시킨다는 것을 모르고 있었다. 이를 알아챈 외국 선수단들이 야유를 보낸 것은 당연했다. 파이널 세트에서 편파판정이 심했고, 어차피 질 경기라고 판단해 바로 일어나 악수하고 나와버렸다. 경기를 보이콧한 것이다. 중국이 한국을 견제하고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아울러, 경기장의 관중석은 8000석인데 7000석을 중국이 선점해 응원도 일방적일 것이다. 그래서 심하게 표현하면, 중국에서 금메달 하나를 딴다면 10개에 버금간다고 농담삼아 얘기하곤 한다.
○메달 색깔
남자복식의 정재성-이용대는 세계 랭킹 3위로서 가능성이 높고, 혼합복식의 이용대-이효정도 기대해 볼만하다. 여자복식은 시드배정으로 보면 준결승에서 중국과 맞붙는다. 무조건 중국을 넘어야 메달을 딸 수 있다.
○남은 과제
남은 기간 동안 장점은 더 살리고, 단점을 보완하는 일이 남았다. ‘헌볼 집중훈련’을 많이 할 생각인데, 실제 자주 나오는 상황을 설정하고 시뮬레이션 훈련을 하는 것이다.
또한, 영상분석을 통해 상대의 장단점을 집중 분석한다. 경기가 다가올수록 심리 컨트롤이 중요하다. 관중이 많은 상황에서 실전경험을 쌓는 등 프로그램을 만들어볼 생각이다. 선수들이 갖는 압박감을 최소화시켜주는 작업도 병행해야 한다.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