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신경계 독소 뿜어내 “실뱀장어 90% 폐사돼”

입력 2015-04-04 23:58: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신경계 독소 뿜어내 “실뱀장어 90% 폐사돼”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어민들이 대량으로 출몰한 ‘끈벌레’ 때문에 신음하고 있다.

바닷속 유해생물로 알려진 끈벌레는 2013년 봄 한강 하류에 나타나면서 국내에 처음 보고됐다.

고양시 행주어촌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조업을 시작한 이후 한강 하류인 행주대교와 김포(신곡) 수중보 사이에서 붉은 끈벌레가 다량으로 발견됐다. 어민들이 실뱀장어 등을 잡으려고 설치한 그물에 끈벌레가 함께 걸린 것이다.

30여 명으로 구성된 행주어촌계는 어민 1인당 약 7개씩 포획용 그물을 한강에 설치하는데, 그물마다 끈벌레와 대다수 죽은 실뱀장어가 섞인 채로 발견됐다. 심할 때는 실뱀장어 한두 마리를 제외하곤 모두 끈벌레로 그물이 가득찼다.

어민들은 한강뿐만 아니라 임진강에서 조업하는 파주어촌계에도 같은 피해가 나타났다고 전했다.

박찬수 행주어촌계장은 “7∼8년 전 처음 붉은 끈벌레가 한두 마리 보일 때는 어민들도 크게 신경을 쓰지 않았는데 올해는 감당할 수 없는 수준으로 퍼졌다”며 “이곳은 마치 재앙이 찾아온 것 같다”고 말했다.

또 “끈벌레 때문에 실뱀장어 90%가 폐사하고 있다"면서 "어제 오늘은 수확이 하나도 없다”고 밝혔다.

이런 피해 보고에 따라 해양수산부 산하 국립수산과학원은 이번 주 중으로 현장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앞서 처음으로 피해가 보고된 2013년 국립수산과학원 서해수산연구소는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등과 합동 조사를 한 결과 독성이 검출되지 않았고, 실뱀장어의 생존에도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에 어민들은 강력히 반발하며 “눈앞에 피해가 자명한데 독성이 없다는 결과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그게 아니라면 다른 원인이라도 찾아내 폐사의 원인을 정확히 밝혀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한 어민은 “바닷물이 들어올 때 실뱀장어를 잡아서 생계를 이어가는 데 피해가 막심하다”며 “최근 조업을 마친 어민들이 모여 엉엉 울었다”고 전했다.

끈벌레는 20∼30cm 크기로 머리 부분은 원통형에 가깝지만 꼬리 부분으로 가면서 납작해져 이동성이 좋고 주로 모래나 펄 속, 해조류 사이, 바위 밑에 서식한다. 신경계 독소를 뿜어내 마비시키는 방법으로 환형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등 어류를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등 포식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에 누리꾼들은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어떻게 이런 일이”,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이럴수가”,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경악이다 진짜”,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헉”,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충격적”,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왜 이러나”,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싫다”,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징그러워”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 기사제보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사진=‘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방송캡처.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사진=‘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끈벌레 한강 하류대량 출몰.’ 방송캡처.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