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온난화 완화 시키는 게 아니었어? ‘충격’

입력 2015-04-24 06:59: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지구 온난화를 완화시킨다고 알려진 식물성 플랑크톤이 오히려 온난화를 증폭시킨다는 연구결과가 나와 화제다.

지난 20일 포스텍 환경공학부 국종성 교수와 독일 막스플랑크 기상학연구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 공동 연구팀은 이 같은 연구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 최신호에 발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는 그동안 CO₂를 흡수해 온난화를 완화시킨다고 알려진 식물성 플랑크톤이 오히려 온난화를 가속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내 새로운 지구 온난화 모델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연구팀은 실제로 1998∼2013년 북극해 지역별 해수면 온도와 해빙이 녹은 정도, 얼음이 녹아있는 기간, 바닷물 속 엽록소 변화 등을 분석한 결과 지역별 해수면 온도 상승 추세와 엽록소 변화 등이 거의 정확하게 일치하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시뮬레이션한 결과 연구팀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역할로 인해 북극 온난화가 20%까지 증폭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해빙은 지구 전체의 기상과 기후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어 녹는 속도가 정상 범주를 벗어나게 되면 기상과 기후가 급격히 변화한다. 주목해야 할 점은 수온이 올라가게 되면 물속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과 증식도 빨라진다는 것인데 이러한 식물성 플랑크톤 속 엽록소는 태양복사에너지와 해양 표면층의 열을 흡수해 북극 온난화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



국종성 교수는 “현재 대부분의 기후 모형이 최근의 급격한 해빙 감소 및 북극 온난화 경향을 과소평가하고 있다”며 “이번 연구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효과를 고려해야만 보다 정확한 북극 기후변화와 지구 온난화 예측을 해 낼 수 있다는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식물성 플랑크톤 온난화 증폭’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기사제보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