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동군, 국악기 제작자 조준석 명인 ‘국가무형문화재’ 인정

입력 2023-12-03 18:13: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전통악기 제작자 조준석 씨가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됐다. 사진제공ㅣ영동군청

전통악기 제작자 조준석 씨가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됐다. 사진제공ㅣ영동군청

충북 영동군은 전통악기 제작자 조준석 씨가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樂器匠)’ 현악기 제작 보유자로 인정됐다고 4일 밝혔다.

조준석 씨는 ‘악기장’ 현악기 제작 보유자 인정을 위해 지난해 문화재청에 공모 후 서면 심사를 거쳤다.

이후 올해 4월 현장 조사를 시행해 현악기 제작의 핵심 기능인 △울림통(현악기의 소리와 모양을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과정으로 위판과 밑판을 제작하여 붙임) 제작 △줄 꼬기(생사(生絲)를 삶아 세줄꼬이와 외줄꼬이방법으로 꼼) △줄 걸기(줄을 끼우고 돌괘를 이용해 줄을 걸고 봉미에 부들을 끼우고 줄을 조임) 등의 기량을 확인했다. 또 완성된 악기를 국악원에서 국악인이 직접 연주해 그 소리의 우수성도 별도로 평가했다.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지정으로 조준석 씨는 먼저 지정된 △고수환 △표태선 씨와 함께 ‘시도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조준석 씨는 1977년 조 씨의 형인 초대석이 운영하는 공방에서 국악기 제작에 입문했다. 전승 계보를 살펴보면 당숙 조정삼이 국가무형문화재인 고 김광주 선생에게 사사받고, 조정삼의 기능은 조대석으로 전해졌다.

조 씨는 조대석에게 10여 년간 가야금 등 국악기 제작 기술을 습득하고 1985년에 독립해 광주광역시에 남도국악사를 운영했다. 이후 2001년 난계국악기제작촌으로 공방을 옮기고 △고악기 복원 △가야금 개량 등 다양한 활동을 펼쳤으며, 이러한 성과를 인정받아 2009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됐다.

특히 조 씨는 △국악기 제작 체험 축제 △도 문화재 활용 사업 △지역 문화유산 교육사업 등 국악기 제작과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했다.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동 합금으로 제작된 종 형태의 궁중 제례악에서 연주되는 아악)·편경(경석으로 제작된 ‘ㄱ’자 형태의 궁중 제례악에서 연주되는 아악기) 제작의 3개 핵심 기·예능으로 나뉜다.

‘고구려의 벽화’ 등을 통해 악기를 만드는 장인이 이미 삼국시대부터 있었을 것으로 짐작되며, 조선시대에는 궁중에 악기조성청(樂器造成廳)이라는 독립된 기관을 설치해 국가에서 필요한 악기를 제작했다. 현재 ‘우리나라 국악기’는 약 60~70종으로, 가야금과 거문고가 가장 대표적이다.

스포츠동아(영동)|장관섭 기자 jiu6703@naver.com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