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우 경북도지사(오른쪽)가 안동 만휴정에서 화재예방 활동을 지휘하고 있다. 사진제공 ㅣ 경북도
선조치 후승인 방식으로 신속 대응… 방염포 활용 효과 입증
경북북부지역에서 발생한 초대형 산불로부터 국가유산을 보호하기 위해 경상북도가 긴급 대응에 나섰다.이철우 경북도지사는 26일부터 국가유산 주변의 수목을 신속히 제거할 것을 지시했다. 그는 “세계문화유산과 국가유산은 보호 차원에서 주변 나무를 정리해야 하지만, 절차가 복잡한 상황에서 산불 확산이 급박했다”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 국무총리에게 보고한 후 국가유산청장, 산림청장과 협의해 긴급 조치를 시행했다”고 밝혔다.
현행 문화유산법상 유산 주변 환경을 변화시키는 것은 ‘현상변경’ 행위에 해당하며, 허가를 받기까지 최대 30일이 소요된다. 이에 경상북도는 선조치 후승인 방식으로 병산서원, 봉정사, 대전사, 도산서원 등의 주변 수목을 27일 신속히 제거했으며, 하회마을은 28일부터 작업을 진행 중이다.
또한 경북도는 방염포 활용을 적극 추진하여 문화유산 보호에 성과를 거뒀다. 화재로 소실된 것으로 알려졌던 안동 만휴정은 방염포와 소방예방조치 덕분에 안전하게 보존됐다. 또한, 의성 고운사의 삼층석탑도 방염포 덕분에 화마를 피했다. 이에 따라 경북도는 봉정사, 대전사 등 주요 사찰과 이송이 불가능한 문화유산을 중심으로 방염포 작업을 확대했다.
경북도는 방염포가 필요한 시군에 긴급 지원을 실시하고, 3개 문화유산돌봄 사업단을 총동원해 작업을 지원했다. 국가유산청에서도 방염포 300롤을 추가 지원하며 보호 조치를 강화했다. 이와 함께, 산불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서는 목조 문화유산을 사전에 이동시켜 상당수의 유산을 보존할 수 있었다. 실제로 이번 산불로 소실된 의성 운람사의 목조아미타여래좌상은 선제적 이동 조치로 보호됐다.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목조건물이 많은 국가유산의 특성상 대형산불과 같은 재난 상황에서는 신속한 대응이 필수”라며 “앞으로도 혁신적인 행정을 통해 국가유산을 보존하고, 이번 산불로 소실된 소중한 유산의 복구에도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안동 ㅣ나영조 스포츠동아 기자 locald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나영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