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구시가 6월 10일부터 시행하는 수요응답형(DRT) 교통수단 서비스 시범운영 홍보 안내도. 사진제공 ㅣ 대구시
10일부터 북구·수성구 2개소 시범운영
이동권 보장 및 교통복지 실현 기대
대구광역시는 대중교통 소외 주거지역의 교통 불편 해소와 시민 이동권 보장을 위해 수요응답형 교통수단(DRT, Demand Responsive Transport) 서비스 운영 지역을 6월 10일부터 북구와 수성구 주거지역 2개소로 확대 시행한다고 밝혔다.이동권 보장 및 교통복지 실현 기대
현재 의료R&D지구, 첨단의료복합단지, 수성알파시티 등 산업단지 중심으로 운영 중인 기업지원형 DRT를 이번에 주거지역 중심의 교통복지형 DRT로 전환하는 첫 사례로, 교통 사각지대 해소에 중요한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에 신규로 서비스가 도입되는 지역은 △북구 산격동 연암서당골 △수성구 범물동 내부 주거지역으로, 두 지역 모두 지형적 특성과 교통 인프라 한계로 인해 시내버스 운행이 어려워 그동안 교통 소외지역으로 분류돼 왔다.
연암서당골 지역은 고령 인구 비율이 높고 도로 폭이 좁으며 경사가 급해 대형버스 운행이 사실상 불가능한 지역이다. 범물동 역시 주요 도로가 협소해 기존 대중교통 수단 진입이 제한돼 도시철도 및 외곽 시내버스와의 연계를 위한 DRT 서비스 도입 필요성이 컸다.
이번 확대 운영은 16인승 이하 차량 총 4대를 투입해 노선별 2대씩 배치한다. 운행 시간은 평일 출퇴근 시간(07:30~09:00, 16:30~19:00)과 그 외 시간(09:00~16:30)으로 나누어 운영되며, 출퇴근 시간대에는 고정배차 방식으로, 그 외 시간대에는 고정배차와 실시간 호출형 운행을 병행하는 혼합형 방식으로 이용자의 편의성과 유연성을 높일 계획이다.
북구 연암서당골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에는 연암서당골 문화센터~상수도사업본부 시설관리소 구간 11개 정류소를 순환하며, 그 외 시간대에는 산격중학교, 산격종합시장을 추가 경유한다.
수성구 범물동 노선은 출퇴근 시간대 범물맨션용지역범물역 등 10개 정류소를 순환하며, 그 외 시간대에는 청소년수련원을 추가 경유하는 노선으로 2시간 간격, 하루 4회 운영된다.
이용 방법은 ‘대구DRT’ 모바일 앱 또는 고객센터 전화(실시간 호출 가능)를 통해 손쉽게 이용할 수 있으며, 요금은 성인 기준 1,500원으로 시내버스 요금과 동일하며 교통카드로만 결제가 가능하다.
홍성주 대구시 경제부시장은 “이번 주거지역 확대는 교통 인프라로부터 소외된 시민들의 이동권을 보장하고, 대중교통 연계성을 높이는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도 시민들의 수요에 맞춘 교통복지 실현을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구 ㅣ나영조 스포츠동아 기자 localdk@donga.com
나영조 기자
Copyright © 스포츠동아.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공유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