힘찬병원 “모든 이들 관심 갖는 관절건강 세대별 주의질환”

입력 2022-01-17 09:29: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우리나라 국민들의 관절건강에 대한 관심과 걱정은 매우 높다. 관절질환은 신체의 노화와 함께 찾아오기도 하지만 비교적 젊은 장년층, 심지어 어린이와 청소년에게서도 생기는 만큼 나이를 떠나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목동힘찬병원 정형외과 남창현 원장은 “관절은 몸의 기둥이라 할 수 있는 뼈와 뼈가 연결되는 부분으로 우리 몸이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며 “무릎 관절에 문제가 생기면 거동이 자유롭지 못해 기본적인 생활이 불편해지고 나아가 삶의 질까지 떨어뜨리기 때문에 평소 관리와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고 말했다.


●어린이 청소년, 박리성 골연골염 주의

신체 활동이 가장 왕성한 시기는 10대다. 그런데 뼈가 한창 자라는 성장기에 운동량이 너무 과하면 무릎이나 발목 등에 무리가 갈 수 있다. 이 때문에 생길 수 있는 대표적인 증상으로 박리성 골연골염을 꼽을 수 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20년 박리성 골연골염(이단성 골연골염)으로 내원한 환자는 총 7763명인데, 이중 10대 남자가 1032명으로 가장 많다. 남녀를 합한 전체 연령대로 봐도 50대 1533명에 이어 10대가 1427명으로 두 번째를 차지했다.

박리성 골연골염은 관절이 반복적인 자극이나 강한 충격을 받아 연골 아래쪽 뼈가 부분적으로 괴사하면서 연골이 떨어져나가 생긴다. 약 75% 정도가 무릎 관절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중이 무릎에 실리면 통증과 함께 붓기도 하고, 삐걱대며 넘어질 듯한 느낌이 들기도 한다. 떨어져 나온 연골조각이 관절 내에서 부딪히면 사각사각 소리가 나기도 하고, 무릎 관절 사이에 끼게 되면 무릎을 일정 각도 이상 구부리지 못하는 잠김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다.

초기에는 X선에도 잘 나타나지 않아 치료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있어 조금이라도 증상이 느껴지면 진료를 보고, 휴식을 취하는 것이 중요하다. 대개 연골을 제자리에 고정해 환부가 그대로 굳어지도록 유도하는 치료를 한다. 연골의 결손 부위가 크면 환자 나이에 따라 연골성형술 등 관절내시경 등의 수술적 치료를 시행하기도 한다.


●청장년층, 반월상 연골판 손상 조심

2020년 국민생활체육조사에 따르면 생활체육 참여율이 가장 높은 연령대는 50대다. 때문에 운동 중 상해로 인해 병원 진료를 받은 경험도 이 연령대에서 높게 나타났는데, 50대 남성이 6.9%로 가장 높고 40대 남성이 6.2%로 뒤를 이었다.

무릎 속의 반월상 연골판은 충격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노화로 인해 약해져 손상되기도 하지만 운동을 하다가 파열되는 경우가 많다. 비교적 쉽고 편한 운동이라고 여겨 많이 즐기는 등산을 하다 내리막길에서 자칫 무릎이 뒤틀리면서 연골판이 손상되기 쉽다. 축구와 같이 격렬한 운동의 경우 십자인대 손상과 함께 흔하게 겪는 부상도 반월상 연골판 손상이다.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면 무릎이 전반적으로 안정감을 잃게 되는데, 뻣뻣하거나 삐걱거리는 느낌이 든다. 또 계단 등을 내려올 때 갑자기 힘이 빠져 주저앉는 경우도 있고, 방향을 전환할 때 무릎이 걸리는 느낌이 들기도 한다.

반월상 연골판이 손상되면 무릎 관절이 정상 때보다 2~3배의 힘을 더 받게 돼 점차 다리 근육이 위축되고 관절염으로까지 악화될 수 있어 조기 치료가 중요하다. 경미할 때는 안정을 취하며 1~2주간 압박붕대, 부목, 소염제 등으로 치료한다. 심할 경우에는 관절내시경을 이용해 손상된 병변을 부분적으로 절제하는 수술을 시행한다. 평소 운동 전후 관절의 유연성과 가동성을 올려주는 동작으로 스트레칭을 해주고, 운동 중에는 무릎에 가해지는 하중을 줄이고 갑작스러운 충격을 당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노년층, 꾸준한 운동으로 퇴행성 관절염 예방

실제로 나이가 들수록 퇴행성 관절염의 위험은 높아진다. 2020년도 다빈도질병순위를 보면 무릎관절증의 경우 50대는 9위인데 60대는 3위, 70대에서는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통증 자체도 고통스럽지만 이로 인해 생기는 수면장애, 거동과 신체활동의 제약으로 오는 우울증, 만성질환의 악화 등 2차적인 문제도 심각하다. 초기의 경우 약물치료, 주사치료, 운동치료 등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고, 중기가 되면 관절내시경수술이나 교정절골술 등을 이용한 보존적 치료가 가능하다. 하지만 말기에 이르면 수술적 치료가 불가피해지기 때문에 관절염이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평소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하다.

노년기의 퇴행성 관절염 관리를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허벅지 근육을 강화해 무릎으로 가는 부담을 최대한 줄여주는 것이 중요하다. 허벅지 근육이 강하면 연골이 약해져도 무릎을 지지하는 힘이 커져 관절을 보호하고 통증도 줄여준다. 증상이 있더라도 관절에 무리가 가지 않는 수영, 평지걷기, 실내자전거 등과 같은 운동을 꾸준히 해주는 것이 좋다.

인천힘찬종합병원 정형외과 안치훈 과장은 “관절염으로 인한 통증 때문에 운동을 꺼리는 경우도 많은데, 움직임이 줄면 윤활유 역할을 하는 관절액이 감소해 통증이 심해지고, 허벅지 근력이 약해지는 등 관절염의 진행속도를 앞당길 수 있다”며 “관절염이 있더라도 소염진통제를 복용하면서 운동과 스트레칭을 꾸준히 하면 관절 주변의 근육과 인대를 강화하고, 혈액순환을 도와 통증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스포츠동아 김재범 기자 oldfield@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