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체육관광부가 2015하계유니버시아드 광주대회 유치활동 비용을 지원하지 않기로 밝힘에 따라 광주 지역민들의 반발이 확산되고 있다. 더욱이 문광부의 유치활동 예산지원 불가방침은 국제대학스포츠연맹(FISU)이 대회 개최지 결정과정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정부 지원의지를 의심케하는 것이어서 대회 유치에 악영향을 줄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문광부는 지난 19일 ´국제체육대회 유치 심사위원회´을 열고 2015년 광주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를 조건부로 승인하면서 유치활동 비용은 광주시가 전액 부담할 것을 조건으로 제시해 사실상 예산 지원 거부입장을 밝혔다. 2013년 U대회 유치과정에서 참여정부가 배정한 18억원의 국비가 유치전에 큰 도움이 됐던 터라 2015년 대회 유치 재도전에 나선 광주시는 정부로부터 또한번의 `큰 힘´을 기대했지만 현재까진 그 기대가 여지없이 무너지고 말았다. 이 소식을 전해들은 지역민들은 납득할 수 없다는 반응이다. 국가적 이벤트가 되는 각종 국제행사 유치 때는 어김없이 정부의 지원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미 공개된 중앙정부의 지원사례를 종합한 결과 두번의 유치 실패를 했던 평창 동계올림픽의 경우 2010년 대회 57억원, 2014년 대회 105억원이 각각 유치비용으로 지원됐다. 또 2011년 대구 세계육상선수권대회 5억원, 2012년 여수세계박람회 187억원, 2014년 인천아시아게임 3억원을 중앙정부가 지원했지만 2015년 U대회는 안된다는 것이다. 문광부는 "2003 대구 유니버시아드 개최 시에 유치비용을 대구시에서 자체 조달한 선례를 참고해 유치도시에서 부담하도록 했다"고 밝히고 있지만 이 역시 지역민들은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이런 논리라면 정부가 2013년 대회 유치비용도 지원하지 않았어야 했는데 실제로는 유치지원을 해놓고 불과 1년도 되기전에 대구사례를 제시하면서 예산지원 불가방침을 내놓은 것은 앞뒤가 맞지 않다는 것이다. 이렇다보니 지역민들 사이에서 "똑같은 사안에 대해 참여정부때는 되고 현 정부에서는 안된다는 것이 말이 되느냐"고 볼멘소리가 나올 정도로 `정치적인 홀대´라는 의심까지 받고 있는 상황이다. 여기에 광주와 대구의 비교가 설득력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제기되고 있다. 2003년 대회 개최를 유치한 대구의 경우 2000년 개최지 결정 당시 유치전이 현재처럼 치열하지 않았다는 것이다. 사실 U대회는 2010년 대회를 러시아 카잔에 맞서 중국 심천이 뛰어들면서 최근 과열양상을 보인 뒤 현재까지 그 분위기가 계속되고 있다는 게 체육계 관계자들의 이야기다. 광주와 대구의 비교가 지역민들 사이에 설득력을 갖지 못한 또 하나의 이유는 경제적 규모. 광주는 대구에 비해 재정자립도가 취약하고 후원금을 낼 수 있는 대기업도 많지 않다는 것이다. 이같은 상황이다 보니 지역민들의 반발이 거세지고 있고, 한나라당조차 정부에 예산지원을 압박하고 있다. 광주상공회의소는 성명을 통해 "광주시의 하계 U대회 유치 승인 조건으로 개최권 획득 시 신규사업 요구 중단, 경기장 신설 억제 및 유치활동 비용 광주시 부담 등을 내건 것은 정부지원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라며 "이같은 조건을 당장 철회할 것"을 주장했다. 광주시민단체총연합과 광주 육상경기연맹 등 48개 경기단체 전무이사들도 성명을 통해 잇따라 조건부 승인철회, 범국가적인 지원을 촉구했다. 전남 곡성 출신 한나라당 이정현 의원(비례)도 전날 국회 예결위에서 강만수 기획재정부 장관에게 "광주시와 시민들이 한번 실패에도 좌절하지 않고 다시 도전하는 것 그 자체를 정부는 오히려 격려해야 할 것”이라며 “여수 엑스포도 두 번째 도전에 성공했다. 강원도 평창 동계 올림픽은 세 번째 도전하고 있다. 광주시민이 간절하게 소망하고 있는 만큼 정부는 지난번 수준의 지원을 마땅히 해야 한다"고 강력히 주장했다. 【광주=뉴시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