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런만 문제가 아니다! 두산의 심상치 않은 장타 가뭄 [베이스볼 브레이크]

입력 2022-05-25 15:56: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두산 김재환, 양석환, 페르난데스(왼쪽부터). 스포츠동아DB

두산 김재환, 양석환, 페르난데스(왼쪽부터). 스포츠동아DB

주축타자들의 이탈에도 불구하고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던 두산 베어스가 위기에 직면했다. 24일까지 최근 10경기에서 3승1무6패(승률 0.333)로 고전하고 있다. 가장 큰 요인은 장타 가뭄이다. 올 시즌 내내 그 고민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가장 눈에 띄는 문제는 홈런 실종이다. 올 시즌 팀 홈런은 14개로 10개 구단 중 가장 적다. 이 부문 1위 롯데 자이언츠(36개)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지난해 두 자릿수 홈런을 때려낸 양석환(28개)과 김재환(27개), 호세 미구엘 페르난데스(15개) 등 3명이 올해 그려낸 아치도 총 9개가 전부다. 김재환이 6개, 양석환이 2개, 페르난데스가 1개다. 지난해 팀 내 최다홈런을 기록한 양석환이 부상으로 이탈했던 까닭에(22일 복귀) 장타 생산이 가능한 김재환과 페르난데스가 상대의 집중견제에 시달린 것도 홈런 급감의 한 요인으로 분석된다.

홈런의 감소는 대량득점의 가능성이 낮아짐을 의미한다. 그런데 두산은 홈런뿐 아니라 장타 자체가 터지지 않고 있어 고민이 크다. 올 시즌 총 장타수는 홈런을 포함해 81개(2루타 64개·3루타 3개)로 역시 리그 최하위다. 그러다 보니 득점 생산력이 떨어지는 것은 당연하다. 안타 대비 장타 비율은 23.1%에 불과하고, 그나마 장타가 터지더라도 홈런 비율은 17.3%에 그치고 있다. 파워 측면에서 전려 위력을 전혀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5월 들어서도 총 장타는 37개(홈런 7개·2루타 29개·3루타 1개)다.

도루 시도의 증가도 장타 가뭄과 연결돼 있다. 두산은 김태형 감독 부임 첫해인 2015년부터 지난해까지 경기당 도루 시도가 0.89회(1006경기 891시도)에 그쳤다. 장타를 쳐낼 수 있는 선수들이 여럿 포진하고 있는 터라 무리하게 작전을 낼 이유가 없었다. 그러나 올해는 경기당 도루 시도가 1.26회(43경기 54시도)에 달한다. 79.6%의 높은 성공률(2위·28성공)을 기록한 덕분에 득점 확률은 올라갔지만, 2021시즌(0.82회)과 비교해 1.54배나 증가한 도루 시도는 두산의 고민을 보여주는 지표이기도 하다.

희망요소는 양석환의 복귀다. 부상으로 이탈하기 전까지 27경기에서 23타수 8안타(타율 0.348)를 기록했고, 이 가운데 3개가 장타(홈런 2개·2루타 1개)였다. 24일 대전 한화 이글스전에는 4번타자 1루수로 선발출전해 9회초 좌전안타를 치는 등 교체 없이 경기를 소화했다. 득남으로 경조사 휴가를 떠난 김재환이 26일 복귀하면 2021시즌 팀의 대표 거포들이 모두 라인업에 포진한다. 현재로선 이들의 조합이 장타 고민을 해결해줄 유일한 방법이라 그만큼 활약이 절실하다.

강산 기자 posterbo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