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파일] 사장단 파워에 밀린 KBO 수장 “이게 말이 됩니까”

입력 2012-06-20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19일 오전 서울 도곡동 한국야구위원회(KBO) 대회의실에서 프로야구 10구단 창단 안건으로 임시이사회가 열렸다. 임시 이사회는 찬반 투표 없이 10구단 창단논의를 당분간 유보하였다. 이사회는 10구단 창단을 현재 53개에 불과한 고교야구팀을 향후 10년간 고교 20개팀, 중학교 30개팀 창단을 목표로 신인제도 보완등 아마야구의 전반적인 여건 성숙과 구장 인프라 개선등을 조성한 후 10구단 창단을 논의 하기로 했다. 강남ㅣ박화용 기자 inphoto@donga.com 트위터 @seven7sola

프로야구 제10구단 창단이 결국 좌절됐다. 한국야구위원회(KBO)는 19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10구단 창단에 대해 심의했지만 ‘당분간 유보’라는 기대 밖의 결과물만 내놓았다. 시기를 언급하지 않았기에 ‘무기한 연기’나 다름없다. 새로운 회원의 가입은 ‘이사회(프로야구 사장단 모임)의 심의와 의결’을 거쳐 ‘총회(프로야구 구단주 모임)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데, 10구단은 심의 단계에서 좌초되고 말았다. 이로써 프로야구는 기약도 없이 당분간 홀수인 9구단 체제로 운영될 수밖에 없다. 마치 한쪽 바퀴가 펑크 난 채로 달리는 자동차처럼 프로야구가 파행을 거듭할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이런 불편한 상황을 맞게 된 것은 무엇보다 일부 구단의 편협한 시각과 이기주의에 기인하지만 결과적으로 KBO 총재의 리더십 부재와 무능을 탓하지 않을 수 없다. 이사회의 의장은 KBO 총재다. 그러나 구본능 총재는 이날 이미 신생구단 창단과 관련해 자포자기한 상태에서 이사회를 진행했다. 표결은 커녕 이사들의 찬반의견조차 묻지 못한 채 중·고교 야구팀 창단 지원 문제를 꺼냈다. 배가 산으로 가자 10구단 창단에 찬성 의사를 지닌 사장들은 발언을 할 분위기도 아니었다는 전언이다.

KBO는 지난주 제5차 정기이사회가 끝난 뒤 이번 임시이사회를 추진할 때만 해도 10구단 창단을 낙관적으로 내다봤다. 최악의 경우 표결(재적이사 3분의 2 이상 출석과 출석이사 3분의 2 이상 찬성으로 의결)까지 가더라도 승산이 있다고 파악했다. 그러나 최근 일부 반대파 그룹이 찬성파 그룹들을 향해 ‘작업’을 세게 진행하면서 순식간에 전세는 역전되고 말았다.

한국프로야구 커미셔너의 체면과 권위가 말이 아니다. 구단주와 싸워야 할 총재가 그룹 거수기 노릇을 하는 구단 사장들에게조차 우스운 존재로 전락했다. 반대파의 핵심 이사는 이날 이사회 직후 의기양양하게 회의장을 떠났다고 한다. 모 구단 사장은 10구단 창단을 강력하게 추진하지 못한 총재의 면전에 대고 “이렇게 총재가 힘이 없어서야 되겠나”라며 성토까지 했다고 한다. 구 총재는 적어도 10구단 창단과 관련해서는 사실상 ‘식물총재’가 돼 버렸다. 그가 재임하는 기간에는 더 이상 10구단 창단을 입 밖에도 꺼낼 수 없는 상황에 처했다.

이재국 기자keystone@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트위터 @keystonelee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