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영화 100년, 최고의 작품 ‘바보들의 행진’

입력 2019-05-02 06:57: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하길종 감독은 영화 ‘바보들의 행진’을 통해 1970년대 현실에 맞닥뜨린 청춘의 절망을 그리며 이면의 희망을 이야기했다. 입영열차 속 병태와 차창에 매달린 영자의 키스 장면은 한국영화사 명장면으로 꼽힌다. 사진제공|한국영상자료원

바다로 간 영철이…군대로 간 병태
암울했던 현실과의 이별 키스 애틋

‘우리의 사랑이 깨진다 해도/모든 것을 한꺼번에 잃는다 해도/우리들 가슴 속에 뚜렷이 있다/한 마리 예쁜 고래 하나가/자 떠나자/동해바다로/신화처럼 숨을 쉬는/고래 잡으러.’

영철은 고래를 잡으러 바다로 뛰어들었다. 그는 마침내 눈물을 삼키며 동해의 가파른 절벽에서 뛰어내렸다. 영태는 함께 가자는 병태를 말렸다. 병태는 대신 입영열차에 올랐다. 병태는 떠난 줄 알았지만 달려와 애타게 자신의 이름을 부르며 열차 창문에 매달리는 영자와 이별의 키스를 나눈다.

하길종 감독의 1975년작 ‘바보들의 행진’의 마지막 장면이다. 한국영화사에 깊은 인상으로 남은 또 하나의 명장면이 되었다. 하 감독은 영철과 병태라는, 당대 두 대학생의 이야기를 통해 청춘의 절망을 그려냈다.

그렇다면 현실은 어떠했던가. ‘한국적 민주주의’를 내세운 권력은 일련의 ‘긴급조치’로 시민들의 입과 귀를 틀어막았다. 대학도 마찬가지여서 휴교령이 잦았다. 머리카락마저 마음대로 기를 수 없어서 거리에선 장발단속이 끊임없었다. 청춘들은 귀밑머리는 경찰관의 가윗날에 잘려나가기 일쑤였다. 오로지 관리와 단속과 통제만이 권력의 ‘소명’인 채로 “자유방임”의 사고는 터무니없던 시대였다.

하길종 감독은 이처럼 암울했던 현실에 맞닥뜨린 채 탈출구를 찾을 수 없었던 두 청춘의 말과 몸짓을 빌었다. 희망을 찾아 나서고자 몸부림치지만 결국 절망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청춘, 영철은 고래를 찾아 동해바다로 뛰어들었고, 병태는 머리카락을 밀어 군대로 향했다. 하지만 고래는 ‘신화처럼 숨을 쉬’고 있을 뿐, 현실이 될 수 없었다. 병태가 향한 군대라고 이들 청춘에게 또 다른 희망이 되었을까.

하길종 감독은 이 같은 1970년대 청춘을 둘러싼 다양한 풍경을 카메라에 담아냈다. 카메라를 들고 촬영 대상을 따라가는 핸드헬드 기법과 경쾌한 카메라 워크 등 신선한 방식으로 청춘의 모습을 담아냈다. 하지만 그마저도 녹록하지 않아서 무려 30분 분량의 필름이 검열에 잘려나가는 수모를 당해야 했다. ‘예쁜 고래’ 한 마리를 꿈꾸며 삽입된 송창식의 노래 ‘고래사냥’도 오랜 시간 들을 수 없는 금지곡이 되었다.

윤여수 기자 tadad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