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SBS 뉴스 캡처](https://dimg.donga.com/wps/SPORTS/IMAGE/2015/06/08/71703676.2.jpg)
출처= SBS 뉴스 캡처
‘긴꼬리딱새란’
긴꼬리딱새란 삼광조라고 불리는 참새목 까치딱새과의 종으로, 한반도의 남부지역, 주로 제주도에 서식하는 여름철새이다.
멸종위기종인 긴꼬리딱새는 주로 동남아시아에서 서식하며 5월쯤 우리나라 제주도나 남해안 지역에 날아와 번식한 뒤 7월 말 새끼들을 데리고 다시 동남아로 날아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전에는 까치딱새과로 분류했다. 수컷과 암컷은 몸길이가 큰 차이가 나는데, 수컷은 꼬리가 매우 길어서 45cm 정도이고, 암컷은 수컷에 비해 꼬리가 짧아 18cm 정도이다. 배가 희고, 날개는 갈색이며, 나머지는 검다. 또, 부리와 눈 테두리가 파란색을 띤다.
한편 이 새는 ‘긴꼬리딱새’라 불리다가(1960년대), ‘삼광조’로 다르게 불렀다가(80년대), 최근에는 다시 ‘긴꼬리딱새’로 돌아갔다. ‘삼광조’라는 이름이 일본식이라는 이유 때문이다. 일본 사람은 이 소리가 일본어 해·달·별의 발음과 비슷하다 하여 三光鳥라 명명했다고 한다.
‘긴꼬리딱새란’ ‘긴꼬리딱새란’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 기사제보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