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선 남과여①] ‘옥자’, 관객의 볼 권리 지켜야 극장이 산다

입력 2017-06-09 06:57: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영화 ‘옥자’의 미국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업체인 넷플릭스 공개에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극장 체인 CGV가 상영을 거부할 조짐을 보인다. 이전과 다른 유통방식에 영화계 내부에서도 시각이 엇갈리고 있다. 사진은 ‘옥자’의 한 장면.사진제공 | NEW

■ 넷플릭스 제작 봉준호 감독 영화 ‘옥자’

멀티플렉스 ‘옥자’ 상영 거부 논란

스포츠동아는 그동안 ‘시선, 男과 女’를 통해서 영화와 방송 콘텐츠, 대중음악 등에 대한 두 남녀기자의 공정하면서도 주관적인 평가의 시각을 제공해왔습니다. 하지만 이번 코너에서는 대중문화계 최대의 쟁점이자 논란거리로 떠오른 문제에 대해 그 범위를 넓혀 보고자 합니다. 바로 현재 영화계와 극장가는 물론 문화콘텐츠 유통방식을 둘러싸고 최대 현안으로 관심을 모으고 있는 영화 ‘옥자’의 멀티플렉스 극장 상영 논란입니다. 미국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업체 넷플릭스가 29일 전 세계 190개국에서 자사 온라인과 모바일 플랫폼을 통해 ‘옥자’를 동시공개하기로 하면서 국내 최대 멀티플렉스 극장 체인 CJ CGV(CGV)가 상영을 거부할 조짐입니다. 그동안 영화를 극장에서 개봉 및 상영하고 일정 기간(홀드백)이 지나면 IPTV를 포함한 TV와 온라인, 모바일, DVD 등으로 유통시키는 방식과 전혀 다르기 때문입니다. CGV 측은 “최소한 홀드백 기간이 필요하다”며 넷플릭스의 이 같은 방식이 “영화산업 생태계와 유통질서를 훼손하는 것”이라고 규정, 반발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라보는 누리꾼 등 대중을 포함해 영화계 안팎의 시선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스포츠동아 두 남녀기자가 이를 반영해 각기 입장을 드러내는 방식으로 독자 여러분과 공유하고자 합니다.


● 29일 개봉. 감독 봉준호. 주연 안서현 틸다 스윈튼 제이크 질렌할 등

● 강원도 산골 소녀 미자(안서현)와 슈퍼돼지 옥자의 우정. 탐욕스런 자본의 논리를 앞세운 거대기업에 비밀동물보호단체가 맞서면서 그 충돌의 양상에 휘말린 미자와 옥자의 모험을 그린 영화. 넷플릭스가 600억원의 제작비 전액을 투자했고 봉준호 감독이 “창작자로서 모든 권한을 보장받으며” 연출했다. 브래드 피트가 이끄는 할리우드 제작사 플랜B엔터테인먼트 등이 공동제작사로 참여했다.

● 남

이미 영화 ‘옥자’를 봤다. 5월 제70회 칸 국제영화제를 취재하기 위해 칸을 찾아 경쟁부문 초청작이었던 ‘옥자’를 관람했다. 그것도 두 번이나. 이미 ‘살인의 추억’과 ‘괴물’과 ‘설국열차’를 통해 현실에 대한 날카롭고 세밀한 시선을 담아낸 봉준호 감독의 역량이 고스란했다. 영화를 보는 참맛을 또 한 번 눈과 가슴으로 즐겼다.

극장에서 볼 수 있어서 가능했던 것인지 모른다. 그렇지 않고서야 봉준호 감독이 말한 것처럼 “그 역시 훌륭한 배우”라 해도 과언이 아닐, ‘라이프 오브 파이’로 아카데미 시각효과상을 받은, 시각효과 감독 에릭 드 보어와 협업의 결과물인 “돼지와 하마를 합친 듯한” 형상의 옥자 모습이 어떻게 그토록 생생하게 다가왔을까.

이야기의 짜임새도 그렇거니와 ‘옥자’는 바로 이 옥자의 생생함이 스토리를 떠받치는 너무도 중요한 핵심인 바, 현실에서처럼 살아 숨쉬는 캐릭터의 느낌이 극장 스크린을 통해 온전히 전해질 수 있었을 터이다. 이를 통해 봉준호 감독이 얘기하고 싶었던 “자연과 생명과 자본주의의 관계”라는 메시지는 더욱 확연하게 다가왔다.

CGV를 비롯한 멀티플렉스 극장들은 엄연히 한국 영화산업의 또 다른 축이다. 한국 영화산업의 발전과 확장에 극장은 상당히 기여해왔다. 결코 과소평가하거나 애써 무시할 게 아니다. 만일 극장이 아니었다면 연 1억명이 넘는 관객이 ‘집 가까운 곳’에서 비교적 저렴한 가격으로 2시간여 동안 문화의 향기를 맡을 수 없었을 것이다.

그럼에도 극장은 넷플릭스의 전략을 쉽게 받아들일 수 없을 것이다. 극장 역시 이익을 추구해야 할 기업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렇다. 모바일과 온라인, IPTV 콘텐츠의 수요가 늘고 매출이 점차 늘어나면서 그만큼 극장의 수익도 줄어들고 있는 현실이기도 하다.

하지만 극장은 또 다른 문화적 공간이라는 점도 잊지 않았으면 싶다. 극장은 수많은 이들이 판타지의 즐거움을 만끽하게 해주는 무대이다. 영화 관람을 통해 잠시잠깐이라도 감동을 받고 내면을 정화시켜주는, ‘집 가까운 곳’의 문화공간으로서 극장만한 곳도 쉽게 찾아볼 수 없다.

그동안 특정 흥행작, 특히 기획부터 투자, 제작, 배급, 상영까지 한 편의 영화를 만들어가는 각 단계에 엄청난 영향력을 발휘하는 것은 물론 아예 ‘장악’하다시피 한 계열 영화 투자배급사의 영화에 대한 대기업 멀티플렉스 극장들의 ‘지나친 상영관 몰아주기’를 의심하고 비판했던 것도 그 이유에서다. 때마다 많은 관객과 영화관계자들이 다양성과 관객의 볼 권리 등을 내세워 그 독과점처럼 비치는 양상을 질책한 것도 극장이라는 공간이 지닌 문화적 향기 때문이다.

‘옥자’를 향한, 아니 ‘옥자’의 공개 방식을 위태롭게 바라보는 이들 주요 멀티플렉스 극장들이 다시 한 번 전향적인 검토를 해줄 수는 없는 걸까. 그들의 주장대로 “영화산업 생태계와 유통질서”를 지켜가려면 온라인과 모바일로만 영화(콘텐츠)를 소비하는 방식을 더 이상 방관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극장에서 영화를 보는 참맛을 관객이 제대로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영화의 가치는 물론 문화적 공간으로서 극장을 온전히 지키는 길이라 믿는다.

윤여수 기자 tadada@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