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단 VS 선수협’ 격돌, 최대 쟁점은 보상제도

입력 2019-12-01 16:3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결국엔 보상제도가 최대 쟁점이다.

프로야구선수협회(이하 선수협)는 2일 열리는 총회에서 최근 KBO 이사회(사장단회의)로부터 전달받은 프리에이전트(FA) 등급제 포함 여러 제도 개선안에 대해 투표를 진행한다.
KBO 이사회는 지난 11월 28일 2019년 제6차 이사회를 개최하고 FA 등급제와 최저연봉 인상, 외국인선수 등록 및 출전 변경 등에 대해 논의했다. 여러 논의사항 중 가장 핵심은 역시 FA 등급제였다.

주요 내용은 FA 대상 선수들을 최근 3년간 평균 연봉 및 옵션 금액에 따라 A, B, C등급으로 나누고, 이에 따른 보상제도도 등급별로 완화하는 것이었다.

A등급의 경우 기존 보상제도(전년도 연봉 200%+보상선수1명 혹은 전년도 연봉 300%)를 유지한다. 그러나 B등급의 경우 ‘보호선수’를 기존 20명에서 25명으로 확대하고, 보상 금액도 전년도 연봉의 100%로 완화하는 내용이다. C등급은 선수 보상 없이 전년도 연봉의 150%만 보상하는 방안을 내놓았다.

각 구단 대표로 구성된 이사회는 ‘보상제도’ 완화라는 카드를 꺼내 선수협에 전달했다. 선수협이 2일 투표에서 이사회의 제안을 받아들이면 FA 등급제는 2020시즌 종료 후부터 실시된다.

그러나 선수협이 이사회의 제안을 그대로 받아들일 지는 의문이다. 선수협회를 이끌고 있는 이대호 회장(롯데 자이언츠)은 시즌 중 ‘FA 상한제(4년 80억 원)’ 이야기가 나오자 보상제도 폐지에 대해서 강하게 이야기한 바 있다.

당시 이 회장은 “선수협은 여러 가지 조건을 제시하지 않았다. 우리는 ‘보상제도’ 철폐만을 이야기했다. 구단들이 제시한 4년 80억 원 내용을 수용하는 대신, 선수들이 자유롭게 팀을 옮길 수 있게 보상제도만 없애달라는 이야기를 전달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이 말하는 보상제도 폐지는 보상선수는 물론 보상금까지 없는 완전 폐지 조건을 말하는 것이었다. 선수 유출을 꺼리는 구단이 FA로 인한 출혈을 막기 위해 시장에서 소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이로 인해 최근 FA 시장에 나오는 베테랑 선수들이 ‘미아’가 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구단이 선수협의 보상제도 완전 폐지 제안을 받아들일 가능성은 없다. 이견을 좁히고 합의점을 찾기 위해 내놓은 방안이 바로 이번 이사회에서 나온 보상제도 완화 카드다.

이제 그 공은 선수협에게 넘어간 상태다. 이사회의 제안을 받아들일 것인가, 아니면 실행위(단장회의)의 제안을 거부한 것처럼 또다시 원점으로 돌아가는가. 모든 것은 2일 선수협 총회 투표에서 결정된다.

장은상 기자 award@donga.com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