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전국 최초 ‘지하차도 침수대비 비상대피로’ 설치

입력 2023-09-14 16:34: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 사진제공ㅣ부산시

지하차도 침수사고 인명피해 방지 위함
2026년까지 시내 34개 지하차도에 설치
전국 최초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 마련
부산시(시장 박형준)가 전국 최초로 시내 34개 지하차도를 대상으로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지난 2020년 초량제1지하차도 침수사고 이후 시내 지하차도 대부분은 차단기, 수위계, CCTV 등을 통한 차단시스템을 구축해 지하차도 진입을 원천 차단하는 방식으로 침수사고에 대처해오고 있다.
그러나 지난 7월 오송 궁평2지하차도 침수사고와 같이 극한 호우 등으로 인한 급작스러운 침수 시 지하차도 내부에 고립될 수 있는 위험은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시는 시내 지하차도에 대한 전수조사와 현장 확인을 실시하고 다양한 검토와 구·군·부산시설공단과의 협의를 거쳐 ‘비상대피로 설치 표준안’을 마련했다.

표준안 첫 번째는 기존 지하차도 내부에 설치돼 있는 비상출입문과 연결통로(계단·사다리 등)를 활용해 비상대피로를 확보하는 방안이다.

두 번째로는 기존 시설을 활용한 대피로 확보가 불가능할 경우 ▲비상사다리 ▲대피유도핸드레일 ▲인명구조함 ▲비상유도표지판 등의 ‘비상대피시설’을 신규 설치해 지하차도 출입구 양측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대피를 유도하는 방안이다.

향후 시는 이번 표준안을 토대로 시설물 관리주체인 구·군, 부산시설공단과 협력해 시설물 위험도 평가 우선순위에 따라 오는 2024~2026년에 단계별로 비상대피로를 확보해나갈 계획이다.

박형준 시장은 “세계적인 기상이변과 기록적인 호우로 해마다 크고 작은 침수사고가 되풀이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순식간에 지하차도에 고립되는 상황에 대비해 이번 지하차도 비상대피로 확보사업을 통해 시민 한 사람의 생명도 안전하게 지킬 수 있도록 도로 안전관리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부산 | 김태현 기자 localbu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