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2년 달 착륙”…우주인재 영입 팔걷은 한화

입력 2023-08-02 10: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한화 우주인재 육성 로드맵. 한화가 우주인재 ‘발굴-육성-채용’으로 이어지는 우수 인재 인프라를 구축하고, 민관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우주 시대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제공|한화

스페이스 허브 크루 ‘000명’ 모집
행성 탐사 등 혁신 프로젝트 주도
카이스트와 함께 우주영재 양성
인재 발굴-육성-채용 인프라 갖춰
한화가 ‘우주경제’를 이끌어나갈 인재 확보에 적극 나선다. 미국 등 우주 강국에 비해 인력이 절대적으로 부족한 한국에서 ‘발굴-육성-채용’으로 이어지는 우수인재 인프라를 구축하고, 민관협력을 통해 대한민국의 우주 시대를 선도하겠다는 계획이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한화시스템은 7월 31일 한화 공식 채용 포털인 ‘한화인’을 통해 엔진시스템, 연소기 설계, 유도 및 자세제어 등 우주사업 10여개 분야에서 신입 및 경력 등 총 000명의 ‘스페이스 허브 크루’를 모집한다고 밝혔다. 신입은 18일까지, 경력은 기한 없이 상시 채용한다.

‘스페이스 허브’는 ㈜한화, 한화에어로스페이스, 한화시스템으로 구성된 한화그룹의 우주사업 협의체다. 이번에 선발되는 인원은 대한민국 ‘우주경제 로드맵’에 따라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 사업에서 누리호 발사체-위성 서비스-행성 탐사 등의 혁신 프로젝트 업무를 맡게 된다.


●국내외 우주인재 적극 채용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이번 채용을 시작으로 국내외에서 과감하게 인재 영입에 나선다. 첨단 과학기술 분야가 집결되는 우주산업의 특성상 다양한 기술 분야에서의 인재 확보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스타트업이던 미국의 ‘스페이스X’가 세계적인 우주기업으로 빠르게 성장한 배경도 실리콘밸리의 우수인력과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전문인력 등을 빠르게 확보한 덕분이다.

현재 대한민국의 우주 분야 종사 인력은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내놓은 ‘2022 우주산업실태조사’를 보면 미국은 우주산업 종사자가 17만 명인데 비해 한국은 1만 명 수준에 그친다. 최고 수준의 역량을 확보한 우주 인력을 수시로 적극 확보할 수밖에 없는 환경이다.


●우주인재 발굴-육성도 확대

한화는 인재 확보는 물론 이미 진행 중인 ‘우주인재 육성 로드맵’도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한화 스페이스 허브는 KAIST와 함께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우주영재 교육 프로그램 ‘우주의 조약돌’을 2년째 진행 중이다.

2021년에는 KAIST와 ‘우주연구센터’를 공동 설립해 저궤도 위성 통신 기술 등 우주 기술 개발과 우주 인력 전문성 강화에 힘쓰고 있다. 민간 기업과 대학이 함께 만든 우주 분야 연구센터로는 국내 최대 규모다.

올해 하반기부터는 지난해 수주한 누리호 고도화사업 추진 및 발사체 단조립장 설립, 미래 우주발사체 개발, 신규 우주 비즈니스 발굴을 위해 신입·경력 직원을 대대적으로 채용해 ‘발굴-육성-채용’으로 이어지는 체계적인 우주인재 양성의 틀을 갖춰 나가고 있다.

한화에어로스페이스 측은 “발사체 사업을 넘어 2032년 달 착륙, 2045년 화성 착륙이라는 정부의 ‘우주경제 로드맵’에 따라 우수 인재들을 확보해 민관협력의 한 축을 적극적으로 담당하겠다”고 밝혔다.

원성열 기자 sereno@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