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광명병원 연구진, 균형장애와 치매 연관성 규명

입력 2023-07-03 14:54: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왼쪽부터)중앙대광명병원 오윤환 교수, 서울대학교 김혜준 연구원, 차의과대학 정속성 교수

-오윤환 교수 연구팀, 건강검진 결과 추적 관찰 연구
중앙대광명병원 가정의학과 오윤환 교수(교신저자), 제주대병원 이비인후과 서지영 교수(교신저자), 서울대학교 김혜준 연구원(제1저자), 차의과학대학교 정석송 교수(제1저자)팀은 노인 건강검진 결과를 9년간(2009-2017) 추적 관찰하여 균형 장애와 새롭게 진단된 치매 발병률의 연관성을 근거를 조명했다고 밝혔다.

치매는 노화에 따라 다양한 인지기능의 저하를 보이는 질병으로 국내 65세 이상 인구 치매 유병률은 42만 여명(2008년)에서 84만 여명(2022년 기준)으로 약 2배 가량 증가했다. 운동 장애는 노화와 동반해 관절, 근육, 말초 신경 변화뿐 아니라 중추 신경계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으며, 인지기능 저하와 흔히 동반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운동 장애가 인지 기능 저하보다 앞서는 경우가 많다. 치매와 운동 장애로 인한 균형 장애의 연관성에 대해 과거 연구가 이루어진 바 있으나 연구대상자 수가 적거나 이미 인지기능 저하를 보이는 환자 대상의 연구라는 점에서 장래에 발생할 치매 위험과 현재의 균형조절 능력 사이 연관성을 확인하기에는 제한이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9년에 걸친 대규모 종단 연구로 현재 인지기능 장애가 없지만 균형 장애(외발서기 10초 미만)가 있는 노인의 경우 균형 장애가 없는 노인(외발서기 20초 이상)에 비해 장래 치매 발생 위험이 2배가 넘게 높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오윤환 교수는 “본 연구는 균형 장애 여부가 이전 뇌졸중이나 인지장애 진단을 받은 적이 없는 노인 인구에서 장래 발생할 치매의 발병 위험에 대한 중요 예측 인자일 수 있음을 보이고 있다”며 “특히 혈관성 치매 위험도와 두드러지게 연관되어 있다는 점이 주목할 점”이라고 밝혔다.

스포츠동아 김재범 기자 oldfiield@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