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출처=MBC 방송화면 캡처
성조숙증 환자 급증 소식에 누리꾼들의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난 25일 새정치민주연합 인재근 의원이 심사평가원의 성조숙증환자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성조숙증 환자가 2009년 2만1712명에서, 2013년 6만6395명으로 3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북 지역은 2009년 424명에서 2013년 1784명으로 약 4배 이상 증가해 전국에서 가장 높은 성조숙증 환자 증가율을 나타냈다. 또한, 서울이 2만 452명으로 전국에서 가장 많은 성조숙증 환자 수를 기록했다.
성조숙증은 여아는 8세, 남아는 9세 이전에 2차 성징이 시작돼 사춘기가 시작되는 증상을 말한다. 유치원생이나 초등학교 저학년때부터 가슴 몽우리가 잡히고 기타 사춘기 징후를 보인다면 성조숙증을 의심해야 한다.
성조숙증 환자 급증의 이유는 환경호르몬의 영향과 아동 비만의 증가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성조숙증에 걸린 경우 아직 정신적인 성숙이 신체 발달을 따라가지 못하는 어린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유발할 수 있으며, 성장판이 일찍 닫혀 키의 성장을 멈추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적절한 치료가 반드시 필요하다.
성조숙증은 건강한 식습관과 꾸준한 운동을 통해 예방할 수 있으며 인스턴트 식품의 섭취를 피하는 것이 좋다.
성조숙증 환자 급증 소식을 접한 누리꾼들은 "성조숙증 환자 급증, 우리 아이도?" "성조숙증 환자 급증, 환경 호르몬 정말 문제네" "성조숙증 환자 급증, 비만 예방 해야겠네"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 기사제보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