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9일 한글날을 맞아 개관된 국립한글박물관이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를 공개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8일 “국립한글박물관이 가장 오래된 한글타자기로 알려진 송기주 4벌식 한글타자기를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송기주 한글타자기는 송기주 박사가 미국 유학 시절 발명한 것으로 1933년 언더우드 타자기 회사에서 제작, 판매되기도 했다. 이후 김준성 타자기, 공병우 타자기 등의 한글 타자기 발전의 효시가 됐다.
이 한글 타자기는 모음의 위티에 따라 각각 다른 3벌의 자음글쇠와 1벌의 모음 글쇠로 이루어져 있으며, 스페이스바와 시프트키의 사용빈도가 높다는 특징이 있다.
송기주 박사의 손자 송세영 씨는 “아버지께서 돌아가신 후 할아버지의 손때가 묻은 이 타자기를 온전하게 보존하고 그 의미를 모두 함께 느낄 수 있는 방법을 고민하던 중 국립한글박물관에 타자기를 기증해 타자기의 가치를 더욱 많은 사람들과 함께 나누는 것이 할아버지와 아버지의 유지를 가장 올바르게 이을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해 기증했다”고 말했다.
한편 송기주 박사의 타자기는 국립한글박물관 상설전시 ‘한글이 걸어온 길’ 중반부에서 한글 기계화의 대표 유물로서 전시된다.
한글날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 소식을 접한 네티즌들은 “한글날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 의미있는 타자기군요” “한글날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 가치가 어마어마 하겠다” “한글날 가장 오래된 한글 타자기, 신기하네요” 등의 반응을 보였다.
동아닷컴 연예뉴스팀/기사제보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