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자동차그룹, 차량내 공기 관리하는 ‘퀄리티 에어’ 공조 기술 개발

입력 2020-07-27 10:01: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현대자동차그룹이 쾌적한 차량 실내 공기 유지를 돕는 ‘퀄리티 에어’ 공조 기술을 개발했다.공조설계팀 연구원들이 애프터 블로우 기술의 핵심 부품인 에바포레이터와 블로워 모터를 살피는 모습. 사진제공|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그룹이 쾌적한 차량 실내 공기 유지를 돕는 ‘퀄리티 에어’ 공조 기술을 개발했다.공조설계팀 연구원들이 애프터 블로우 기술의 핵심 부품인 에바포레이터와 블로워 모터를 살피는 모습. 사진제공|현대자동차

-곰팡이 번식 줄여주는 ‘애프터 블로우’ 기술이 핵심
-간접풍 모드 추가, 실내 미세먼지 농도도 실시간 표시

현대자동차그룹은 차량 실내 공기를 쾌적하게 하는 ‘퀄리티 에어’ 기술을 향후 출시되는 현대차·기아차·제네시스 신차에 선별적으로 적용할 예정이라고 27일 밝혔다.

현대차그룹이 개발한 신규 공조 시스템은 애프터 블로우(After Blow) 기술, 멀티 에어 모드(Multi Air Mode) 기술, 실내 미세먼지 상태표시 기술 등 세 가지다.

가장 핵심이 되는 기술은 애프터 블로우다. 여름철 차량 내 에어컨 냄새 문제 해결을 위해 응축수가 맺혀있는 에바포레이터(증발기)를 바람으로 말리는 기술이다.

기존 차량은 에어컨을 작동하며 운행하다 목적지에 도착해 시동을 끄면 증발기에 남아 있는 응축수로 인해 곰팡이 등 세균이 번식해 냄새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었다.

애프터 블로우 기술은 운전자가 시동을 끈 뒤 30분간 에바포레이터에 생긴 응축수의 자연 배수과정을 진행한 후 공기를 불어주는 블로워 모터를 작동시켜 바람으로 증발기와 공기 통로에 남은 응측수를 10분간 건조시켜 곰팡이 증식을 예방한다. 이 기능이 작동될 때 공조 시스템은 외기 유입으로 자동 전환돼 실내가 습해지는 것을 방지한다.

기존에는 배터리 방전의 우려 때문에 시동을 끈 후에 작동하는 이런 방식의 공조 시스템을 사용하기 힘들었지만, 지능형 배터리 센서(IBS)를 통해 배터리의 충전량을 모니터링하고 충전량이 부족할 때는 작동하지 않는 방식을 적용해 방전 위험을 줄였다.

멀티 에어 모드(Multi Air Mode) 기술은 다수의 송풍구를 활용해 은은한 바람으로 쾌적한 실내환경을 만들어주는 기술이다 냉방과 난방 때 모두 작동시킬 수 있다.

운전자가 멀티 에어 모드를 작동시키면 기존 송풍구 외에도 운전석과 조수석에 위치한 멀티 에어슬롯(미세한 구멍이 뚫린 에어스크린)에서 바람이 분산되어 나와 실내 전반에 골고루 퍼지며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어준다.

새로운 실내 미세먼지 상태 표시 기술도 선보였다. 차량 실내 공기의 상태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수치화된 미세먼지 정보를 운전자에게 전달해 보다 효율적으로 차내 공기 질을 개선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대차그룹은 이번에 선보인 애프터 블로우 기술, 멀티 에어 모드 기술, 실내 미세먼지 상태표시 기술을 향후 출시 예정인 신차에 적용할 계획이다.

원성열 기자 sereno@donga.com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