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 효율적인 행정으로 8천7백만 원 절감
105필지에서 19필지로 줄여 측량 기간 단축
새로운 행정동 조정으로 주민 편의 증대 기대
2026년 새로운 행정체제 출범을 위한 발판 마련
105필지에서 19필지로 줄여 측량 기간 단축
새로운 행정동 조정으로 주민 편의 증대 기대
2026년 새로운 행정체제 출범을 위한 발판 마련

인천 서구·검단구의 경계 분할 예정도(좌표 순서 좌→우). 사진제공|인천시청
인천광역시가 2026년 7월 출범 예정인 검단구와의 경계를 명확히 하기 위한 토지분할 측량 작업에 착수했다.
이번 측량은 지난 1월 제정된 ‘인천광역시 제물포구·영종구 및 검단구 설치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추진되는 것으로, 법정동과 행정동 경계를 조정하기 위한 첫 단계다.
인천 서구가 검단구로 분리되는 큰 변화를 앞두고, 두 구를 나누는 정확한 경계선을 정하는 작업이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인천시는 2026년 7월 1일부터 서구와 검단구가 각각 독립적인 행정구역으로 운영될 예정인 만큼, 주민들이 혼란 없이 생활할 수 있도록 두 구를 나누는 경계선을 정확하게 측량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법률에는 서구와 검단구의 경계가 좌표로만 표시돼 있어, 실제 지상에서 어디까지가 서구이고 어디까지가 검단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주민들이 불편을 겪거나 행정 업무에 혼선이 생길 수 있다.
이번 측량은 특히 서구와 검단구의 경계에 위치한 경인아라뱃길 주변의 국유지를 대상으로 진행됩된다. 총 19곳의 땅을 측량해 서구와 검단구의 경계를 정확히 구분할 예정이다.
측량이 완료되면 서구와 검단구의 법정동과 행정동 경계가 새롭게 조정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더욱 편리하게 행정 서비스를 이용하고, 지역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 서구 마전동 주민 A씨는 “검단구가 분리되면서 우리 동네가 어느 구에 속하게 될지 궁금했는데, 이번 측량을 통해 명확하게 알 수 있게 돼 다행”이라고 말했다.
또 지방행정 전문가 B씨는 “이번 경계 획정은 단순한 행정 구역 조정을 넘어 지역 발전의 새로운 기회가 될 것”이라며 “각 구의 특성에 맞는 맞춤형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주민들의 삶의 질이 향상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인천시는 이번 토지분할 측량을 통해 서구와 검단구의 명확한 경계를 설정하고, 주민들이 편리하게 행정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새로운 행정구역 출범에 따른 지역 발전을 위해 다양한 지원책을 마련할 예정이다.
인천 서구·검단구의 경계 획정은 단순한 행정 절차를 넘어 지역 발전을 위한 중요한 첫걸음이다. 이번 측량을 통해 인천시는 새로운 행정 체제를 구축하고, 시민들에게 더 나은 행정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 전유도 행정체제개편추진단장은 “행정체제 개편은 인천의 미래를 위한 선택”이라며 “성공적인 개편을 위해 해당 구와 긴밀히 협력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인천|장관섭 기자 localh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장관섭 스포츠동아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