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대기질 개선 비전·감축’ 목표 수립

입력 2024-02-14 11:4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충남도청 전경. 사진제공ㅣ충남도청

충청남도가 미세먼지 없는 푸른 하늘을 유지하기 위해 맞춤형 대기질 시행 계획 수립에 나선다.

도는 14일 도 기후환경국장과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 등 1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2차 충남도 대기환경 관리계획(2025년¤2029년) 수립 위탁 용역 착수보고회를 개최했다.

충남은 화력발전소, 제철단지, 석유화학단지 등 대형 배출원이 밀집해 있고 중국 편서풍의 경로에 위치하는 등의 요인으로 대기질 개선 요구가 높은 지역이다.

도는 2020년 1차 시행계획 수립 이후 발전·산업 분야 대형 배출원의 자발적 감축 및 시설 개선,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 폐쇄 및 배출 상한 제약 시행, 생활 주변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경유차 폐차, 친환경 차 보급 확대 등 지속적인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도내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2016년 40만 9,912톤에서 2021년 31만 9,806톤으로 감소해 9만 106톤을 감축하는 성과를 거뒀다. 또한 미세먼지 농도는 2019년 26㎍/㎥에서 지난해 20㎍/㎥로 감소했다.

하지만 초미세먼지 농도는 여전히 대기환경기준(연평균 15㎍/㎥)을 초과하고 있고, 최근 산업·경제 활동으로 대기오염물질 배출량은 점차 증가하는 추세다.

이에 도는 강화된 국가 목표와 환경 여건 변화 등을 반영한 제2차 시행계획을 조기에 수립해 대기질 개선에 선제적으로 대응할 계획이다.

제2차 시행계획에는 기존 계획에 대한 평가·분석, 대기오염물질 배출량 및 농도 현황, 충청남도 대기질 개선을 위한 비전 및 감축 목표 수립 등이 담길 예정이다. 또한 부문별·단계별 세부 개선 대책도 포함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제2차 대기환경 관리 시행계획은 향후 5년간 대기환경 정책의 기틀을 마련하는 매우 중요한 계획”이라며 “도에 적합한 실효성 있는 대기질 개선 대책을 수립해 미세먼지 농도 개선 등 도민 건강 피해 예방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말했다.

스포츠동아(충남)|장관섭 기자 jiu6703@naver.com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