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재 파일] 대구육상 허점, 평창에서는 절대 없겠죠?

입력 2011-09-06 07: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2011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가 막을 내렸다. “한국에서 아직 세계육상선수권 개최는 시기상조”라는 우려와 달리, 전반적으로 성공적이라는 평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운영상의 허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있다. 세계육상선수권에서 얻은 평가는 2014인천아시안게임과 2018평창동계올림픽의 성공적 개최를 위한 밑거름이 될 것이다. 그래서 단편적인 문제점을 현상적으로 나열하기보다는, 왜 미숙한 점이 나타났는지 그 본질을 살피는 것이 생산적이다.

대구세계육상선수권조직위는 2005년부터 대구국제육상경기대회를 개최해 왔다. 이미 수차례 세계선수권의 리허설을 치른 셈이다. 문제는 리허설의 평가들이 조직에 축적되지 않았다는 데 있다. 그 이유를 알기 위해서는 조직위의 인적구조를 살펴야 한다.

조직위의 실무책임자들은 중앙부처와 대구광역시의 파견 공무원들로 채워졌다. 이들의 파견기간은 길어야 2년이었다. 그래서 열정적인 인력들은 “일을 배울 만 하면 원대복귀를 한다”며 안타까움을 호소했다. 수년간의 학습효과는 공중에 떠버렸다. 예를 들어 2009베를린세계육상선수권을 견학했던 조직위 관계자들 가운데 일부는 원 소속 기관으로 돌아갔고, 일부는 조직위 내부에서도 보직이 바뀌었다. 현재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 역시 주요 실무자들이 중앙부처와 인천광역시, 체육회 등의 파견 인력으로 채워져 있다.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 역시 향후 조직위로 전환이 되면, 인력구성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대회를 책임 있게 준비하려면 파견기간을 보장하거나, 원대복귀가 불가피한 경우 전임자의 평가지점을 조직에 남길 수 있는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

조직위내 각 부서 간의 유기성도 살펴야 할 것이다. 대구세계육상선수권조직위는 2010년 2월 조직을 확대 개편했다. 1실2본부8부18팀이던 조직(103명)은 1실4국16부40팀(252명)으로 세분화됐다. 업무의 효율성을 위해 부서가 나뉘어 질 때는 부서 간의 소통과 유기성이 전제돼야 한다. “내 부서의 일이 아니면 모른다”는 관료적 사고방식이라면, 부서 세분화가 도리어 운영의 질곡이 될 뿐이다.

이번 대회 기간 동안 평창동계올림픽유치위 관계자들이 대구를 찾았다. 인천아시안게임조직위에서는 대구로 직원을 파견하기도 했다. 대구세계육상선수권이 남긴 교훈을 살펴, 국제대회 조직위의 인력파견구조 문제와 그 해법부터 되짚어볼 시점이다.

전영희 기자 setupman@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트위터@setupman11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