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에서도 남녀 화법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박선우 계명대 국어교육과 교수가 ‘현대문법연구’에 게재한 논문 ‘SNS 모바일 텍스트의 언어학적 양성’에 이런 내용이 나온다.
‘SNS 남녀 화법 차이’를 분석한 박 교수는 페이스북에서 댓글을 10대, 20대, 30대, 40대 이상의 댓글을 성별로 50개씩 총 400건을 수집해 그 차이를 분석했다.
‘SNS 남녀 화법 차이’를 조사 결과 여성이 이모티콘이나 문장부호와 같은 비언어적, 시각적 기호를 더 많이 쓴 것으로 드러났다.
페이스북 텍스트 한 건 당 남성은 평균 0.36자, 여성은 평균 0.90자의 이모티콘을 사용했다. 여성이 남성보다 2.5배 많은 이모티콘 문자를 쓴 셈이다.
!, ?, ∼, …와 같은 문장부호 역시 여성이 평균 2.15자씩 사용해 남성(1.37자)의 문장부호 사용량보다 1.6배로 많았다.
‘SNS 남녀 화법 차이’를 분석한 박 교수는 ”정보 전달보다는 사교적 기능이 강한 SNS에서 여성이 감정과 느낌을 시각적으로 전달하려는 경향이 남성보다 강하다”고 설명했다.
SNS화법에는 남성을 중심으로 한 ‘사투리’가 특징으로 지적됐다.
대구경북 지역에 거주중인 페이스북 사용자들의 글을 수집한 결과 성별로는 남성이 연령별로는 20대가 지역어의 변이형을 자주 썼다.
‘SNS 남녀 화법 차이’를 분석한 박 교수는 “남성이 여성보다 지역어에 우호적이고 여성이 남성보다 표준어 지향태도가 뚜렷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동아닷컴 온라인뉴스팀 star@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