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IFA의 부정부패 의혹들
비리 보고서 ‘1/10 분량’ 압축 발표
후원금 계좌 미공개도 논란의 대상
국제축구연맹(FIFA)을 둘러싼 부정부패가 도마에 오른 것은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특히 월드컵 유치전은 비리의 온상이다. 온갖 추문이 흘러나온 2018년 러시아, 2022년 카타르월드컵이 대표적이다. 국가간 투표 거래 밀약, 표 매수가 전제된 금품수수, 특정국 집행위원을 대상으로 한 개인경비 제공 등 숱한 루머가 나돌았다. 결국 모하메드 빈 함맘(카타르) 전 아시아축구연맹(AFC) 회장 등 몇몇 인사들이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FIFA는 관련 비리 보고서를 작성한 뒤에도 공개하지 않는 등 속 시원한 해명을 거부하고 있다.
뉴욕 검찰 출신으로 FIFA 윤리위원회 수석조사관으로 활동한 마이클 가르시아는 19개월여의 조사 끝에 430페이지 분량의 보고서를 작성했지만 FIFA는 이를 42페이지 분량으로 압축·발표해 비난을 샀다. 현재 미국 사법당국의 수사 내용에도 러시아·카타르대회 이외에 2010남아공월드컵 개최 관련 비리가 포함됐다.
물론 마케팅 및 후원사, 스폰서들도 비리에서 완전히 자유롭지는 않다. 과거 국제올림픽위원회(IOC)의 비리를 폭로했던 앤드루 제닝스 탐사보도 기자(영국)의 저서 ‘FIFA의 은밀한 거래’에 따르면, FIFA 간부들이 2006독일월드컵 티켓을 몰래 빼돌려 짭짤한 수익을 챙겼고, FIFA의 마케팅 대행사 ‘ISL’이 3000억원의 손실을 내고 2002한일월드컵 개막을 1년여 앞둔 2001년 5월 파산하는 과정에서 FIFA 임원들과 스폰서 파트너 간에 뇌물이 오간 정황이 포착됐다.
이밖에 월드컵을 앞두고 각국 방송사들이 내는 중계권료와 스폰서 금액도 논란의 대상이다. 그나마 중계권 수익은 공개되지만 후원금 계좌는 FIFA가 사실상 공개하지 않고 있어 검은 거래가 언제든 가능하다는 주장에 힘이 실린다.
남장현 기자 yoshike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