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프로야구 FA 몸값 과열 딜레마 ‘투자인가 거품인가’

입력 2015-02-18 09:00: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사진=스포츠동아DB.

사진=스포츠동아DB.

[동아닷컴]

프로야구 자유계약(FA) 선수들의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다.

최근 삼성 라이온즈 외야수 최형우가 “FA 총액 120억 원에 도전하겠다”는 발언으로 다시 FA 몸값 과열 논란에 불씨를 지폈다. 선수 본인은 “당장 달라는 것도 아니고 목표를 이야기한 것 뿐”이라고 해명했지만 곱지 않은 시선들도 적지 않다.

지난 2011년 시즌 종료 후 FA 자격을 갖춘 이택근이 4년 50억 원에 넥센으로 이적하면서 FA시장은 과열 조짐을 보이기 시작했다.

이어 KIA가 김주찬에게 4년 50억원을 안겨줬고 지난해에는 롯데 포수 강민호 4년 75억원, 한화 내야수 정근우, 외야수 이용규가 4년에 각각 70억원과 67억원, 삼성 투수 장원삼이 4년 60억 원을 받았다.

이번 시즌에는 SK 최정(4년 86억원), 삼성 윤성환(4년 80억), 두산 장원준(4년 84억) 등 80억대 몸값의 선수가 한꺼번에 3명이나 등장하면서 예상대로 역대 최고 금액의 FA 시장을 형성했다.

다음 시즌 역시 두산 김현수 등 대어급 FA들이 남아있어 몸값 100억 원 돌파도 시간문제라는 예상이 많다. 이런 추세라면 2년 후 FA 자격을 얻게 되는 최형우의 120억 발언이 아주 현실성 없는 이야기는 아닌 것이다.

프로에서 곧바로 성적을 내는 대형 고졸루키를 점점 찾아보기 어려운 현실에 트레이드마저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는 한국 프로야구 특성상 FA는 거의 유일한 전력보강 수단이다.

때문에 선수는 자신의 가치를 인정받기 위해 FA 기회가 왔을 때 권리를 적극적으로 행사하고 그 선수가 필요한 구단은 선수를 잡기위해 거액을 베팅하는 악순환이 반복되고 있다. 10구단 체제가 되면서 선수 수요가 많아진 것도 한몫했다. 이러한 양상은 당분간 쉽게 식지 않을 전망이다.

성적으로 가치를 증명하고 그에 따른 보상을 받는 프로 선수들이 열심히 뛰어 좋은 성적을 내서 가치를 인정받는 것은 긍정적인 일이다. 하지만 문제는 한국프로야구의 시장 규모가 치솟는 몸값을 감당하기에는 벅차다는 점이다.

대부분 모기업의 지원을 받아 운영되는 한국프로야구 구단들이 1년에 사용하는 예산은 한정돼 있다. 대형 FA 한 선수에게 거액을 투자한다면 정해진 예산 내에서 다른 선수들에게 돌아가는 몫은 적어질 수밖에 없다. 이는 팀 전체의 단결력에 문제가 될 소지도 있다.

프로의 세계에서 경쟁을 통해 그 가운데 살아남은 선수들이 많은 경기에 출전하고 많은 연봉을 받는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다. 그러나 경쟁의 심화로 인한 무리한 오버 페이는 시장 전체를 무너뜨릴 수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프로의 냉정한 논리로만 치부하기에는 문제가 심각하다. 비싼 돈을 들여 데려 온 선수를 벤치에만 앉혀놓을 수는 없다. 따라서 유망주와 신인의 설 자리는 점점 줄어들게 된다. 고여 있는 물이 흐르지 않고 방치되면 반드시 썩는다. 결국 프로야구 전체의 경기력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

정해진 예산은 빠듯한데 그 안에서 좋은 선수를 확보하고 성적을 내기 위해서는 투자를 하지 않을 수도 없다. 구단 예산으로는 부족하기 때문에 모기업에 지원 요청을 할 수밖에 없다. 모기업의 지원을 받아 선수를 잡는다 해도 문제는 또 있다.

투자를 해준 모기업은 투자의 성과를 현장에 요구할 가능성이 높다. 현장에서는 우승에 대한 압박이 늘어나고 프런트와 모기업의 현장 간섭이 심화되는 악순환이 벌어질 수 있다.

결국 선수와 구단 스스로의 자정 노력이 필요하다. 시장에 비해 지나치게 높은 몸값 과열 현상이 지속된다면 한국프로야구시장 전체가 공멸하는 비극이 초래될지도 모를 일이다.

동아닷컴 송치훈 기자 sch53@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