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제공|MBC

사진제공|MBC


“약을 먹고 운전하면 안된다는 인식이 부족했습니다. 제가 부주의했습니다.”

약물 운전 혐의로 입건돼 소환 조사를 받은 이경규가 부주의했던 행동에 대해 사과했다. 앞서 그는 약물 운전 혐의에 대해 억울한 마음을 드러낸 바 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24일 이경규를 불러 도로교통법 위한 혐의 피의자로 이경규를 불러 복용 경위와 운전 당시 상황 등에 대한 소환조사를 벌였다. 이경규는 오후 8시부터 10시 45분까지 약 1시간 45분간 진행된 조사에 성실히 임했다.

앞서 “처방약을 먹었을 뿐”이라며 ‘약물 적발’이라는 자극적 보도에 대해 아쉬움을 토로하기도 했던 이경규는 조사를 마친 후 취재진에게 “공황장애 약을 먹고 운전하면 안 된다는 것을 크게 인지하지 못했다”고 자신의 부주의에 대해 사과했다.

이어 “국과수(국립과학수사연구원) 소견에서도 마약 성분은 없었고 평상시 먹는 약들이 그대로 나왔다. (경찰로부터)먹는 약 중 그런 계통의 약이 있다면 운전을 자제하는 게 좋지 않겠냐는 말씀을 들었고, 저 역시 조심하겠다 말했다”고 말했다.

이어 적발 당시 타인의 차량을 운전한 것과 관련해서는 주차 관리 요원의 단순 실수에서 비롯된 ‘해프닝’이라고 설명하며 “믿고 응원해준 팬분들꼐 실망 드린 점 사과한다“고 고개를 숙였다.

사진제공|MBC

사진제공|MBC

이경규의 변호인은 “이경규는 10여 년간 공황장애를 앓아왔고 사건 전날도 처방약을 먹었지만 몸 상태가 좋지 않아 직접 운전해 병원에 갔던 것”이었다며 “몸이 온전하지 않은 상황에서 운전대를 잡은 것은 변명의 여지 없는 부주의다. 앞으로 몸과 마음을 더욱 돌보며 말과 행동을 신중하겠다”는 입장문을 대독하기도 했다.

앞서 이경규는 8일 오후 서울 강남구의 한 실내 골프연습장에서 주차 관리 요원 실수로 자신의 차량과 차종이 똑같은 다른 사람의 차량을 몰고 회사로 이동했다가 해당 차주의 절도 신고로 경찰 조사를 받았다. 이 과정에서 음주 측정 경우 음성이 나왔으나 간이 시약 검사에선 ‘약물 양성 반응’이 나와 조사를 받았다.

다음날인 9일 이경규는 스포츠동아와의 전화 통화에서 “약물 복용이라니 말도 안되는 일이다. 감기 몸살약을 먹은 상태에서 운전을 했고, 경찰에도 감기약을 복용한 것이라고 잘 소명하고 귀가했다”면서 “약물 복용이라는 자극적 워딩의 보도가 아쉽다”며 억울해 했다.

서울 강남경찰서는 이경규의 소명과 별개로 도로교통법 위반 혐의로 이경규에 대해 조사를 이어갔다. 도로교통법 제45조에 따르면 약물의 영향으로 정상적으로 운전하지 못할 우려가 있는 상태에서는 운전을 금지하고 있으며 처방약이라고 집중력 인지능력 저하로 정상적 운전이 어려운데 운전하면 약물 운전 혐의가 성립되기 때문이다.

경찰은 이경규의 진술을 분석한 뒤 처분 방향을 결정할 예정이다.


이승미 기자 smlee@donga.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