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올레길] 가볍게 넘기는 무릎 통증…‘무릎연골연화증’ 의심해봐야

입력 2020-03-06 05:45:00
카카오톡 공유하기
프린트
공유하기 닫기

이준구 일산 척추·관절 든든한병원 원장.

무릎 통증은 부위별로 다양한 질환이 나타나므로 증상만으로 어떤 질환인지 확정 지을 수 없다. 오랜 시간 앉아 있다가 일어났을 때 생기는 통증, 많이 걷지도 않았는데 무릎이 불편하고, 움직일 때 딱딱 소리가 나는 증상을 호소하고 있다면 무릎연골연화증을 의심해봐야 한다.

연골은 무릎뼈 사이에서 무릎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하는 기능을 한다. 외부 충격과 체중을 견디기 위해서는 이 연골이 단단해야 하는데, 부드러워지고 점차 닳는 현상이 무릎연골연화증이다. 외부충격이나 생활습관으로 인해 빈번히 발생하며 주로 여성, 젊은 층에서 많이 나타난다.

무릎연골연화증 치료는 약물, 물리치료, 근력강화운동 치료를 우선적으로 시행해야 한다. 그 외에도 보조기 등 고정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으며 연골주사를 이용해 치료할 수도 있다. 연골주사는 연골 세포의 재생을 촉진함으로써 증상 호전을 돕는다.

위의 치료를 시행했음에도 증상이 나아지지 않고 만성화됐거나 연골 손상 정도가 심하다면 관절 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을 고려해야 한다.

무릎연골연화증은 치료 외에도 예방이 매우 중요하다. 무릎 연골에 가해지는 충격을 줄이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적당량의 운동을 통해 허벅지 근력을 키우는 것이 좋다.

운동을 하지 못하는 환자들은 가벼운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 무릎관절의 유연성을 늘려서 무릎 긴장과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20∼30대의 경우 무리한 운동과 잘못된 생활습관 등으로 인해 무릎관절증이 발생하는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평소 무릎 건강에 주의해야 하며 일상생활에 큰 불편이 없을지라도 통증이 시작됐다면 병원을 찾아 상담 및 정밀 검사를 받는 것이 좋다.

이준구 일산 척추·관절 든든한병원 원장




오늘의 핫이슈

뉴스스탠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