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환 원장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통증이 사라지지 않고 계속되거나 밤에 잠을 잘 자지 못할 정도로 아프다면 어깨질환을 의심하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좋다. 특히 특별한 이유 없이 발생한 어깨통증 및 운동제한이 발생되었다면 오십견을 의심해볼 수 있다.
‘오십견’은 어깨가 굳어 움직이기 힘들다고 하여 ‘동결견’이라고도 불리기도 하는데, 주로 50대 전후 연령층에서 많이 발생한다고 하여 이름 지어졌다. 정식적인 의학적 명칭은 관절을 둘러싸고 있는 관절막 등의 연부조직이 점진적으로 굳어 발생한다고 하여 ‘유착성 관절낭염’이라고 불린다.
최근에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착성 관절낭염’이 젊은 층에도 증가하면서 사십견, 삼십견이라는 신조어가 등장하는 등 젊은 층에서 안심할 수 없는 질환으로 등장하고 있다.
오십견이 발병하면 평소 일상생활 중 팔을 들어올리는 동작에서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며 시간이 지날수록 어깨가 점점 굳고 뻣뻣해지면서 운동범위가 감소하게 된다. 특히 다른 사람의 도움을 받아도 팔을 들어올리기가 힘들어지는 수동관절운동 제한이 나타난다면 오십견을 의심해 볼 수 있다. 이외에도 아픈 부위로 눕거나 야간에 통증이 심해지면서 수면장애로 이어질 수 있다.
문제는 오십견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호전되는 질환으로 생각하여 방치를 하는 경우가 많다는 점이다. 하지만 회복하는데 오랜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후유증으로 운동제한이 남을 수 있는 만큼 있는 증상이 보이면 방치할 것이 아니라 초기에 진단받고 치료하는 것이 좋다.
오십견은 크게 명확한 발병 원인 없이 관절 주변의 연부조직이 굳게 되며 통증 및 운동범위의 제한을 유발하는 특발성 오십견과 다른 어깨질환이나 질병에 의해 발생하는 이차성 오십견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이중 이차성 오십견은 다시 다른 견관절 질환으로 발생하는 내인성과 경추 질환과 같이 견관절 외부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외인성 그리고 당뇨나 갑상선 질환 등이 원인이 되는 전신성으로 구분되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오십견과 함께 원인이 되는 질환의 치료를 같이 진행해야 한다.
다행히 증상이 심하지 않은 초기 오십견은 약물치료, 주사치료, 물리치료 등의 보존적 치료로도 충분히 증상호전을 기대할 수 있다. 반면 3~6개월 꾸준한 치료에도 효과가 없거나 운동범위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적 치료도 고려해야 한다. 관절내시경을 이용한 수술은 미세 손상부위까지 확인하며 관절낭에 유착된 조직을 제거하는 수술 방법이다.
광명21세기병원 김대환 원장은 “많은 중장년층의 경우 어깨통증을 단지 나이가 들어 그런 것이라 생각하고 방치하다가 팔을 잘 들어 올리지 못할 정도로 통증이 심해져 병원을 찾는 경우가 많다”며 “어깨 통증 및 운동제한이 발생했다면 무조건 참기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어깨통증 및 운동제한을 유발하는 질환은 오십견 이외에도 회전근개 파열, 석회화건염 등 다양하기 때문에 정형외과 등 관련 병원을 찾아 정확한 진단 하에 치료를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수진 기자 sujinl22@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