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버햄턴 황희찬은 올 시즌 고전하고 있다. 팀은 강등권 가까이 추락했고, 그도 제 컨디션을 찾지 못하고 있다.|황희찬 SNS
황희찬(29·울버햄턴)이 쉽지 않은 시즌을 보내고 있다.
팀 사정부터 녹록지 않다. 울버햄턴은 올 시즌 하위권으로 처져있다. 3월까지 7승5무17패, 승점 26으로 강등권 바로 위인 17위다. 시즌 초반부터 부진했던 탓에 게리 오닐 감독이 지난해 12월 경질됐다. 그러나 사령탑 교체를 통한 ‘충격요법’도 통하지 않았다. 후임 비토르 페레이라 감독 체제에서도 순위 상승은 요원하다.
황희찬의 입지 역시 예전과 다르다. 오닐 전 감독 아래에선 줄곧 선발 멤버로 뛰었지만, 올 시즌 교체 자원으로 떨어졌다. 지난해 10월 발목 부상과 올해 2월 햄스트링 부상까지 겹쳤다. 3월까지 소화한 22경기 중 선발 출전은 8회뿐이다. 공격 포인트도 2골·1도움에 불과하다.
지난 시즌 맹활약과 비교하면 더욱 아쉽다. 울버햄턴 유니폼을 입은 2021~2022시즌 황희찬은 모든 대회를 통틀어 5골·1도움, 2022~2023시즌 4골·3도움을 올린 데 이어 2023~2024시즌에는 13골·3도움으로 잉글랜드 무대 진출 이후 최다 공격 포인트를 작성했다. 하지만 단 한 시즌 만에 고전을 거듭하고 있다.
선수단 분위기도 어수선하다. 황희찬과 줄곧 호흡을 맞춘 브라질 공격수 마테우스 쿠냐가 팀을 떠날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쿠냐는 지난달 영국 매체 가디언을 통해 “커리어를 위해 다음 단계를 밟아야 한다”며 팀을 떠날 것을 암시했다.
물론 황희찬에게 반등 가능성이 없는 것은 아니다. 지난 시즌 도중 2028년 6월까지 장기 재계약을 마쳤기에 구단으로서도 기대를 걸고 있다. 또 페레이라 감독은 쿠냐, 파블로 사라비아, 곤살루 게드스와 함께 황희찬을 계속 바꿔가며 출전시키고 있다. 기회가 없진 않다.
국가대표팀에서 골 감각을 끌어올린 사실도 고무적이다. 황희찬은 3월 20일 고양종합운동장에서 벌어진 오만과 2026북중미월드컵 아시아 최종예선 B조 7차전에서 선제골을 터트렸다. 이어 5일 뒤 수원월드컵경기장에서 펼쳐진 요르단과 8차전에선 공격 포인트를 기록하진 못했으나, 왼쪽에서 특유의 과감한 돌파로 정상 컨디션임을 증명했다. 황희찬이 끝까지 포기하면 안 되는 이유다.
백현기 기자 hkbaek@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