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콘협은 13일 입장문을 내고 탬퍼링(계약 만료 이전 사전 접촉) 의혹이 제기된 기획사 및 관련 아티스트의 앨범, 음원 판매량을 써클차트 집계에서 제외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써클차트가 데이터를 제공하고 있는 음악방송 프로그램(엠카운트다운, 뮤직뱅크, 음악중심, 인기가요, 더쇼, 쇼!챔피언, 더트롯쇼, ENA케이팝차트쇼 등 총 8개 음악방송 프로그램) 및 국내 주요 음악 시상식(써클차트 뮤직어워즈, MAMA, 골든디스크)에도 제외하고 공급하는 것을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음콘협은 기획사가 고용한 외부의 프로듀서가 어리고 전도유망한 아티스트들과 부모들을 회유하여 기존 기획사와의 전속계약 관계를 파탄시키려는 이른바 ‘탬퍼링’시도를 우리는 이미‘피프티피프티’사건에서 목도한 바 있다고 전했다.
또 피프티피프티 사건 이후 얼마 지나지 않아 최근 특정 매체가 보도한 민희진 전 어도어 대표의 탬퍼링 의혹은 그 진위 여부를 떠나 탬퍼링이 대중음악산업계에 얼마나 만연한지를 적나라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매우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이어 이러한 탬퍼링의 시도가 중소 기획사뿐만 아니라 대형 기획사에서도 충분히 벌어질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면서 더 이상 이 문제를 본 협회가 두고만 볼 수 없게 되었다고 밝혔다.
계속해 이러한 일련의 사태가 반복될 경우, 그 어떤 기획사도 훌륭한 프로듀서를 기획사 소속으로 영입하거나 외주 용역 형태로 자율권을 주면서 아티스트와 접점을 가지도록 할 수 없을 것이라 꼬집었다.
또 음콘협은 이번 탬퍼링 사건에 대해 민 전 대표와 뉴진스, 그리고 국회와 정부 관계자들께 다음과 같은 요청을 드린다고 말했다.
음콘협은 첫 번째로 민 전 대표는 최근 한 매체에서 보도된 탬퍼링 의혹에 대한 정확한 입장과 사실관계를 밝혀달라 요구했다.
이어 뉴진스에게 전속계약의 충실한 이행을 담보하고 기획사와 진정성 있는 대화를 통해 협의하되,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한 경우 사법부의 판단을 겸허히 기다려야 한다고 전했다.
또 대중음악산업계에 뉴진스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며, 언론 보도에 신중을 기해주시기 바란다고 강하게 말했다.
계속해 탬퍼링 근절을 위한 법/제도 개선을 국회 및 정부에 강력히 건의 드린다고 전했다. 제도적으로 탬퍼링을 막아달라는 것이다.
조성운 동아닷컴 기자 madduxly@donga.com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